
20일 보험개발원에 따르면 지난해 자동차보험 수리비는 5조919억원으로 전년(4조6007억원)대비 10% 이상 늘었다. 최근 3년간 높아봤자 5% 정도였던 증가율이 2013년에는 유난히 급증한 것.
세부적으로는 대물이 2조6559억원으로 전년대비 11%(2621억원) 늘었다. 대물 수리비는 평균 8% 정도의 증가율을 나타내기는 했어도 지난해는 평년보다 높은 수준이다. 자차는 2조4360억원으로 10.4%(2291억원) 증가했다. 2012년에만 해도 전년대비 감소했던 자차 수리비가 2013년에는 높은 급증세를 보였다.
이처럼 자동차보험 수리비가 증가한 이유는 차량가액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고가의 첨단장비와 안전장치가 부착되면서 국산차 가액이 높아진데다 수리비가 국산차보다 센 수입차가 급증한데 따른 것.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3월말 기준 국내에 등록된 수입승용차는 90만4000여대로 100만대 돌파를 앞두고 있다. 수입차의 경우, 부품의 정가와 공임정보가 없어 수리비는 부르는 게 값이다.
보험개발원 관계자는 “차량가액이 올라가면 수리비도 같이 올라간다”며 “차량이 고가화 되고 수입차가 늘면서 수리비 역시 증가하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이어 “수입차는 부품확보가 힘들고 유통구조가 투명하지 않아 가격이 높고 복구시간도 많이 걸려 수리비가 국산차보다 3~4배 정도 높다”고 덧붙였다.
상황이 이렇게 되자 금융당국이 추진 중인 자동차보험 대물 보상한도 상향에 대한 우려감이 더 커졌다. 불과 2년 전만해도 대물 수리비는 자차보다 적었지만 이젠 자차를 추월해 전체 보험수리비 상승을 주도하고 있어서다. 당국이 대물한도 상향을 추진하는 이유는 중고차를 수리해 더 사용할 수 있음에도 차량가액보다 수리비가 더 높아 폐차하는 경우가 허다하기 때문이다. 이에 대한 민원이 많이 들어오자 제도개선을 강구하게 된 것.
그러나 지금처럼 가만히 놔둬도 대물 수리비가 급증하는 마당에 보상한도를 높이면 수리비가 더 폭등할 것은 당연지사. 자동차보험금에서 물적 담보의 대부분을 수리비가 차지하고 있으며 해마다 상승하는 수리비로 인해 평균 손해율이 88%까지 올라간 상황이다.
손보사 관계자는 “사고 직전 차량가액의 120%까지 주는 현행약관도 실손보상 원칙에 어긋나는 일이지만 여기서 더 높인다면 자동차보험 손실은 더 악화될 것”이라며 “보상한도를 높이려면 요율상향 등 보험료 합리화도 같이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원충희 기자 wch@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