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보험사기 적발금액은 2579억원으로 전년 동기(2237억원)보다 15.3% 증가했다. 적발인원은 4만1953명으로 전년 동기(4만54명)대비 4.7% 늘었다.
종류별로는 자동차보험의 적발금액이 1436억원으로 전체의 55.7%를 차지했다. 이어 장기손해보험(682억원, 26.4%), 보장성 생명보험(328억원, 12.7%) 순이다.
유형별로는 허위·과다사고가 1834억원으로 전체의 71.1%를 차지했으며 고의사고(410억원, 15.9%), 피해과장(138억원, 5.3%)이 뒤를 이었다. 허위·과다사고 중에서도 사고내용 조작(439억원, 17%), 음주·무면허운전(317억원, 12.3%), 운전자 바꿔치기(263억원, 10.2%) 유형 등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특히 금감원이 교통사고와 관련된 문제 병·의원에 대한 조사를 강화한 결과, 자동차사고 환자의 피해과장 및 병원의 과장청구, 생명·장기보험에서의 허위·과다장해 등이 모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40대(1만1413명, 27.2%), 30대(1만444명, 24.9%), 50대(9970명, 23.8%) 순으로 많았으며 증가율은 10대(605명)가 전년 동기대비 20.7% 감소한 반면 60대(3009명)와 70대는(624명)는 각각 18.8%, 44.8% 늘어났다.
직업별로는 무직·일용직(8058명, 19.2%), 회사원(6682명, 15.9%), 기타 일반자영업(3229명, 7.9%) 순으로 적발됐으며 증가율은 운수업종사자(2304명)가 전년 동기대비 82.4%, 병원·정비업체 종사자(1615명)가 31.1% 급증했다.
원충희 기자 wch@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