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프러스는 그리스 의존도가 높은 국가로서 지난해 그리스 국채 조정으로 은행들의 경영 상황이 악화됐다. 유럽연합과 국제통화기금은 지난 16일 카프러스에 대해 100억 유로 규모의 구제 금융에 합의했으며, 그 대가로 키프러스는 정부 자산매각, 법인소득세율 인상, 이자소득세 부과, 예금에 대한 세금 부과 등을 요구했다.
이 가운데 시장이 촉각을 곤두세우는 대목은 예금세금부과다. 예금에 대한 세금 부과로서 10만 유로 이상의 예금은 9.9%, 그 아래의 예금은 6.75%의 세율이 적용될 예정이다. 하지만 이 구제금융안은 키프러스 의회에서 부결되며 구제금융에 대한 재협상이 불가피하다.
전문가들은 카프러스 갈등은 단기적 악재에 그칠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하다.
우리투자증권 안기태 연구원은 “키프로스를 둘러싼 글로벌 투자자들의 우려가 단기에 그칠 것으로 판단된다”며 “키프로스가 유로존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낮고 여타 지역으로의 위기 전염가능성도 크지 않은 만큼 ECB의 자산매입, 장기차관 제공 등 정책개입이 뒷받침 되면서 이번 이벤트는 국지적 리스크에 국한될 것”으로 내다봤다.
한국투자증권 이수정 연구원은 “은행동맹(Banking Union)의 예금 보장 기능에 대한 불신, 나아가 은행동맹에 대한 불신으로 이어질 수 있는 사안”이라며 작년 하반기 이후 유럽 금융시장 안정을 도왔던 은행동맹 구축 모멘텀의 위축은 결코 달가운 일이 아니며 단기적으로 유로존 리스크에 주목해야 한다”고 말했다.
최성해 기자 haeshe7@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