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절세관련 설문의 최고 세테크 상품은 연금펀드가 뽑혔다. “가장 효율적인 절세 상품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라는 문항과 “현재 실행중인 절세재테크 상품은 무엇인가?”라는 두 가지 질문에서 모두 1위에 올랐다. 연금보험과 물가연동 채권도 뒤를 이었다.
신한금융투자 자산관리솔루션부 이창환 솔루션파트너는 “급여생활자들이 활용할 수 있는 가장 손쉽고, 간편한 세테크 전략이 바로 연금상품 가입이다. 연금상품은 적립기간동안 소득공제를 통한 절세혜택, 연금 수령시 저율과세 등 혜택이 많고, 특히나 중도환매조건이 까다로워 노후생활자금 마련을 위한 가장 필요한 상품이다”라고 평가했다.
증권맨들의 세테크 멘토를 묻는 질문에는 ‘인터넷’이 (244명, 33%)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뒤를 이은 답변으로는 ‘언론매체’(187명, 25%)와 ‘직장동료’(167명, 23%), ‘책’(88명, 12%)등이 있었다. 반면 가족(부모님, 형제 등)은 3%에 그쳐 ‘인터넷’의 영향력을 새삼 깨달을 수 있었다. 또한 “최근 절세 노하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이유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라는 질문에는 ‘저금리 기조로 적금에 매리트가 떨어져서’가 (175명, 39%)로 1위를 차지했다. 그 이외에도 ‘아낄 수 있는 돈이라는 생각에 또는 새는 돈이 느껴져서’등의 답변이(154명, 35%) 뒤를 이었다. 수익만큼이나 아끼는 것에도 관심이 많은 요즘 직장인들의 알뜰한 심리를 느낄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연말정산’ 또는 ‘절세’를 통해서 돌려받은 금액을 주로 어디에 사용했는가를 묻는 질문에는 ‘생활비로 사용(201명, 45%)’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연말정산 금액이 13월의 월급이라는 별칭에 걸맞는 답변이었다. 주식(64명, 14%)과 펀드(70명, 16%), 채권(12명, 3%)로 재투자 한다는 답변이 뒤를 이었다.
신한금융투자 자산관리솔루션부 이창환 솔루션파트너는 “저성장에 따른 저금리 기조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므로, 향후 수익률 제고를 위해 다양한 자산에 투자할 수 있는 연금펀드의 활용도가 점차로 높아질 것으로 판단된다”고 조언했다.
최성해 기자 haeshe7@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