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송승용 희망재무설계 이사는 “부자는 단순히 돈이 많은 사람이 아니라, 열심히 일해 돈을 벌고, 그 안에서 저축하고 가치 있게 돈을 쓸 줄 아는 행복한 사람”이라고 말했다.
그는 돈만 많은 부자가 아닌 자녀가 돈을 가치 있게 벌고 가치 있게 쓸 줄 아는 행복한 부자로 자라도록 하기 위해선 어릴 때부터 자녀에게 ‘돈 교육’을 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나만을 위한 부자가 아니라 나를 위해서, 가족을 위해서, 이웃을 위해서, 사회를 위해서 돈을 가치 있게 쓸 줄 아는 어른으로 키워야 하는 것이다.”
물론 대부분의 부모도 이에 동감할 것이다. 문제는 부모가 자녀와 돈에 대해 이야기하기 것에 불편함을 느낀다는 것이다. 그래서 “돈 걱정하지 말고 공부나 열심히 하라”든가 “돈은 몰라도 된다”라며 얼버무린다. 송 이사는 “사실 어른 중에서도 돈 교육을 받지 못한 사람이 적지 않다”며 “그래서 돈 관리에 어려움을 느끼지만 그것에 대한 뚜렷한 해답도 없고, 또 자녀를 교육 하는데도 어려움을 겪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렇게 돈에 대한 무지가 대물림되는 것이다.
그나마 요즘은 어린이 경제교육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하면서 금융기관이나 비영리단체 등에서 어린이 경제교육을 열고 있어 경제교육을 받을 기회가 많아졌다. 돈에 대한 올바른 가치관을 갖고 돈 관리를 잘하기 위해서는 이런 금융지식이 필요하다. 우리가 사는 자본주의 경제에 대해서도 알아야 할 것이다.
하지만 지식적인 부분에 너무 치중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송 이사는 세계 경제가 어떻게 돌아가고, 펀드란 상품은 어떤 것인지 등 그런 지식적인 부분은 좀 늦어도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런 지식이 분명히 필요하지만, 그보다 더 중요한 것은 돈에 대한 올바른 가치관을 심어주고 돈에 대해 좋은 생각을 할 수 있도록 가르치는 교육이라는 것이다.
그러면서 그는 실생활에서 실천할 수 있는 돈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돈을 열심히 모으고 잘 관리하고 통제하는, 즉 돈을 관리하는 실전감각을 키워야 한다는 것이다. 돈이 없어 고생도 해 보고 힘들게 돈을 모아서 원하는 것을 산 뒤의 성취감과 즐거움도 느끼게 하고, 원한다고 모든 것을 가질 수 없다는 사실도 깨달으면서 돈의 소중함을 알아가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부모가 금융전문가일 필요가 없다. 중요한 것은 부모의 솔선수범이다. 예를 들어 부모가 계획하에 소비를 통제하는 모습을 보여준다면 자녀는 자제할 줄 알고 계획할 줄 아는 어른으로 자랄 것이다. 송 이사는 “이런 일상 속 ‘돈 교육’이 어쩌면 국어, 영어, 수학 문제를 한 개 더 맞히는 것보다 중요한 문제”라며 “자녀가 행복한 부자로 자라는 데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자녀와 대화하는 시간을 갖자”고 제안했다.
송 이사는 연세대학교에서 경영학을 전공하고 싱가포르 금융연구원에서 국제금융과 외환과정을 마치고 증권회사를 거쳐 ‘희망재무설계’의 이사로 일하고 있다. 경제적으로 곤란을 겪는 사람들과의 만남을 통해 어린 시절의 경제교육이 평생 삶의 질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임을 깨닫고, 청소년들에게 경제에 대한 올바른 개념과 가치관을 알려주고자 최근 발간한 ‘어른들이 말하지 않는 돈의 진실’을 통해 ‘책 속의 아빠’로도 활약하고 있다.
유선미 기자 coups@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