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금융권에 따르면 은행들의 월드건설에 대한 일반대출과 PF대출은 국민은행 2000억원, 신한은행 1600억원, 하나은행 142억원 수준인 것으로 알려졌다.
국민은행은 1870억원 규모의 PF대출을 한 가운데 이중 20%(342억원)의 충당금을 쌓았다. 그러나 나머지 80%에 대한 대출금도 공정율이 98%에 달하고 분양률도 80%에 육박하는 만큼 충당금을 쌓을 필요가 없다는 입장이다.
신한은행도 일반대출 700억원 가운데 520억원을 충당금으로 쌓았고 900억원의 PF 등 담보가액 820억원을 제외하면 추가충당금은 260억원 수준인 것으로 파악됐다.
하나은행도 142억원 대출 가운데 62억원의 추가충당금을 쌓아야 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지난해 부실 PF 대출에 대해 대손충당금을 충분히 쌓아뒀기 때문에 익스포져가 크지 않다”고 말했다. 이처럼 미미한만큼 아직까지 은행 건전성 악화의 가능성은 높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은행들이 최근 경기침체로 PF대출을 꺼리고 있어 유동성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고 신규 사업 수주가 없어 경영난이 심화되고 있는 만큼 건설사의 부실사태로 추가피해가 우려되고 있다.
한편, 부동산PF 부실 여파로 인한 삼화저축은행 영업정지에 이어 월드건설 법정관리 신청으로 건설사 구조조정이 본격화 되면서 저축은행업계에도 여파가 확산되지 않을까하는 우려에 업계가 긴장하고 있다. 월드건설은 2009년 초 은행과 저축은행 등 금융기관 30여곳의 대주단협약을 통해 워크아웃에 들어간 바 있다. 이 가운데 저축은행이 16곳에 달했으며 부동산PF로 물린 규모가 상당한 수준이었다. 하지만 월드건설은 자체적인 경영개선 작업과 본사사옥을 710억원에 매각해 차입금 정리에 나섰다.
이에 따라 2010년 4월 15일자로 차입금은 1399억원으로 낮아졌다. 차입금을 상환해야 할 저축은행도 6곳 정도로 줄어들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금난에 시달렸던 월드건설은 결국 법정관리 신청을 하게 됐다.
저축은행 한 관계자는 “월드건설은 워크아웃 1호 건설사로 각 금융기관들이 조금만 수익이 발생하면 차입금을 상환하려고 하는 등 무리수를 뒀기 때문에 상태가 상대적으로 양호했는데도 법정관리 수순을 밟는 것으로 예고되고 있었다”고 말했다.
월드건설은 법원에 신청한 법정관리가 승인되면 회생절차에 돌입하지만 2차 심사 후에도 회생 가능성이 없으면 파산절차를 밟기 때문에 채권자인 저축은행에게는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실제로 저축은행 6곳이 가지고 있는 월드건설의 채권은 890억원 규모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A저축은행은 300억원 규모의 담보대출 및 부동산 PF 대출이 나갔으며 아직 회수는 되지 않았다.
B저축은행도 300억원 규모의 부동산PF 대출에 나섰지만 대부분 자금을 회수했으며 현재는 30억원 규모의 채권만 남은 상황이다.
C저축은행은 90억원 규모의 담보대출을 시행했으며 법정관리 전에 담보물 매각절차를 진행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밖에 D와 E저축은행은 70억원, F저축은행은 60억원 규모의 자금을 월드건설에 대출해줬다.
A저축은행 관계자는 “현재 대부분 담보를 가지고 대출을 시행해 손실을 볼 수 있는 상황은 아니다”며 “워크아웃과 법정관리는 관리의 주체만 바뀐 것뿐이지 기업을 회생하게끔 만드는 목표에 있어서는 달라진 것은 없다”고 말했다. 실제로 월드건설의 토지 및 건물 등을 담보로 설정한 규모는 2741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고재인 기자 kji@fntimes.com
김성희 기자 bob282@fntimes.com
관리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