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화두인 녹색금융 정책에 맞춰 녹색성장산업 지원방안을 내놓고 녹색경영 실천을 내세우는 등 녹색 성장 구현에 동참하고 있지만, 녹색금융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되지 않고 수요층도 형성되지 않아 수익성이 낮기 때문이다.
지난달 10월 신한은행은 탄소·녹색성장산업에 지원한 ‘신한녹색성장대출’ 상품을 출시한 가운데 현재(16일 기준) 대출 2건에 실적이 48억원에 그쳤다.
지난 2월에 출시한 태양광 발전소에 지원하는 솔라파워론 상품도 7건, 201억원의 실적을 기록해 거의 없는 실정이다.
하나은행도 지난해 초부터 태양광발전 사업을 위한 대출상품 ‘솔라론’을 판매하고 있지만 현재까지 10건, 420억원에 머무르고 있다.
외환은행 역시 지난 4월 녹색성장기업에 지원하는 ‘녹색기업파트너론’도 현재까지 실적은 11건에 254억원이 판매됐다.
우리은행이 지난 9월 녹색기술기업을 위한 ‘우리사랑 녹색기업대출’ 상품이 현재까지 40건에 268억원을 판매해 이 가운데 그나마 실적이 견조하다.
은행들은 녹색금융정책에 대해 회의적인 반응이다. 아직까지 녹색금융에 대한 정확한 이해도 없이 무조건적으로 녹색상품만을 출시해야 하는 은행들에게는 오히려 시간과 노력만 허비할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또 은행들이 수요층 확보를 위해 친환경 활동을 유도하는 동시에 금리를 우대해주는 등 공감대 형성을 유도하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고객들의 참여를 이끌어 낼 수 있는 마케팅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다.
A은행 관계자는 “정부의 정책 화두인만큼 녹색 상품을 지속적으로 연구하고 있지만 녹색 자체가 너무 어렵고 접근하기 어려운 게 사실”이며 “녹색으로 만들 수 있는 획기적인 상품들이 그리 많지 않다”고 토로했다.
그는 이어 “녹색에 대한 의식변화를 할 수 있는 상품들을 구상 중이지만 고객들은 녹색상품을 추가금리를 받을수 있는 고금리 상품 정도로 인식하는 경우가 많다”고 전했다.
B은행 관계자도 “정부의 녹색지원은 장기적인 정책인만큼 녹색관련 상품들을 출시해도 관심이 많지 않아 지금으로서는 마땅한 대안책이 없는 것이 사실”이며 “아직까지 녹색사업에 대한 불확실성이 높은만큼 녹색금융 참여를 더 확산시키기 위해서는 세제 지원 등 정부의 역할도 중요하다”고 말했다.
김성희 기자 bob282@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