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 안팎에서는 후임 이사장에 박대동 전 예금보험공사 사장, 임영록 전 재정경제부 제2차관, 이영호닫기

거래소측은 곧 새 이사장 선출을 위한 후보추천위원회를 구성할 예정이다.
거래소 이사장 선임은 후보추천위원회에서 복수로 후보를 올리면 주주총회 의결과정을 거쳐 금융위원장 제청으로 대통령이 임명하는 과정을 거친다.
거래소의 임원후보추천위원회는 비상임이사와 이사회가 선임하는 임원후보추천위원 5~15인으로 구성된다.
박대동 전 예보 사장의 경우 4월 재보궐 선거 낙마에 따른 정치권의 관심과 개인적 전문성 등을 배경으로 거론되고 있다.
임영록 전 제2차관은 행시 20회로, 경기고, 서울대, 미국 밴더빌트대 대학원 경제학과를 졸업했다.
이영호 전 시장감시위원장은 옛 증권감독원 공채 1기로 증권감독국장, 금융감독원 부원장보 등을 거치면서 증권시장에 대한 전문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철환 위원장은 행정고시 20회로 1981년 경제기획원을 시작으로 재정경제부 산업경제과장과 종합정책과장을 거쳐 재경부 부총리 비서실장과 국고국장, 금융위원회 금융정보분석원장 등을 지냈다.
또 이창호 경영지원본부장은 경북 성주 출신으로 행시 21회로 공직에 입문했고, 기획예산처 산업재정심의관, 공공혁신 본부장·재정전략실장·통계청장 등을 역임한 바 있다. 금융업계에서는 이 이사장의 사퇴 배경을 감안할 때 전직 관료출신 인사의 외부 영입 가능성이 보다 클 것으로 보고 있다.
한편 이 이사장은 자료를 통해 “거래소에 대한 허가주의 도입을 위한 의원입법안이 국회 정무위 법안심사소위에서 통과돼 본회의 의결을 앞두고 있다”며 “현시점에서 본인이 사임함으로써 관련 입법이 조속히 국회를 통과해 거래소에 대한 공공기관 지정이 해제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이 이사장의 사의가 전해지자 반발도 뒤따랐다 부산시민단체협의회 등은 “이사장 사퇴는 결코 수리되어서는 안된다”며 “청와대와 금융위원회는 부산시민들에게 사과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거래소 단일노조는 “본부장보 이상은 전원 사퇴해야 한다”며 “방만경영 책임은 임원 모두에게 다같이 있다”고 주장했다.
통합노조는 “이 이사장의 사퇴로 마음이 무겁지만 거래소의 공공기관 지정과 해제를 둘러싼 소모적 논쟁을 접고 문제 해결의 실타래를 푸는 계기가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배동호 기자 dhb@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