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금융감독원(원장 김종창)이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오제세(민주당) 의원에게 제출한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올해 3월 말 현재 금융권의 PF 대출 잔액은 83조7819억원으로 지난 2007년 말에 비해 18.5% 급증했다.
특히 같은 기간 PF 연체채권 규모는 1조8960억원에서 5조6079억원으로 3배로 불어났다.
금융권 평균 PF 연체율도 2.68%에서 6.69%로 급등했다.
3월 말 현재 PF 대출잔액이 54조8591억원으로 가장 많은 은행권의 연체율이 0.48%에서 3.1%로 급상승했고 저축은행(10조5000억원. 이하 PF대출 잔액)의 연체율은 11.6%에서 14.5%로 상승했다.
자산운용사(5조4500억원)의 PF 연체율은 0.05%에서 무려 23.9%로 수직 상승했고 증권사(2조8000억원)도 4.6%에서 25.2%로 치솟았다.
보험(5조4000억원)은 2.8%에서 3.0%, 여전사(3조8628억원)는 1.3%에서 5.6%로 각각 PF 연체율이 상승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작년 9월 말 경제위기가 불거진 이후 건설경기 회복이 지연됨에 따라 PF 연체율도 가파른 상승세를 보였다”며 “올해 3월 말 이후엔 연체율이 다소 낮아지기는 했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이렇게 PF 부실이 금융회사의 건전성에 위협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됨에 따라 금융당국은 작년 말부터 금융권의 PF 부실채권을 매입하기 시작했다.
자산관리공사는 작년 말과 올해 초 저축은행들이 보유한 PF 부실채권 1조7000억원(채권가액 기준) 규모를 우선 매입했다.
올해 3월 말에도 은행 등 나머지 금융권이 보유한 4조원 대 PF 부실채권을 매입하겠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지금까지 은행권이 보유한 PF 부실채권을 8000억원 규모로 사들이는데 그치고 있고 저축은행을 제외한 제2금융권의 매입실적은 아직 전무한 상태다.
특히 증권사와 자산운용사들은 PF대출 연체율이 20%대 임에도 부실채권 매각을 꺼리고 있어 눈총을 받고 있다.
관리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