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은행들은 저축은행 지방은행 전환은 제살깎기 경쟁에 불과할 것이라며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A은행 관계자는 “국내 경기 상황이 악화되면서 지방은행들의 영업환경 등은 더욱 힘들어지고 있다”며 “지방은행들의 경쟁도 치열한데 저축은행이 지방은행으로 전환된다면 은행 생존은 더욱 어려워 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B은행 관계자도 “지방은행들은 지역 연고로 영업을 하는 만큼 결국 제살깍기 경쟁으로 이어질 수 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지방은행들은 대형 시중은행들보다 규모가 작아 성장성은 작지만 시중은행과의 경쟁도 불가피 하기 때문에 득실을 따져봐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최근 금융위원장과 시중은행장 간담회에서도 지방은행장들의 우려섞인 목소리가 이어졌다.
은행장들은 저축은행을 지방은행으로 전환하는 것은 지방은행을 희생양으로 만드는 것 만큼 신중성을 기해야 한다는 의견이다.
그러나 저축은행의 지방은행 전환 가능성이 희박하다는 것도 대체적인 중론이다.
저축은행들은 최저자본금, 최대주주 지분율, 대손충당금,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 등 넘어야 할 산이 많은 만큼 쉽지 않을 것이라는 입장이다.
현재 저축은행들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 비율은 최소 5% 이상만 유지하면 되지만 지방은행으로 전환할 경우 권고치가 8%로 높아진다.
또 최대주주 지분율도 저축은행은 제한이 없는 반면 지방은행은 15% 이내로 제한해야 한다. 이에 지방은행들은 저축은행들이 굳이 나서서 지방은행 전환을 고집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 공통된 의견이다.
A은행 관계자는 “저축은행들이 지방은행으로 전환할 경우 BIS 자기자본 비율 등 건전성 지표를 대폭 높여야 하고 추가로 충당금도 많아야 하는데 굳이 전환할 필요가 있겠냐”며 의문을 제기했다.
B은행 관계자도 “지방은행으로 전환하게 되면 저축은행들도 건정성 규제를 받으면서 영업을 해야하고 건전성 지표 등의 기준에도 제약을 받을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어 “저축은행들은 은행들보다 영업규제가 덜 까다롭기 때문에 영업력과 수익성 측면에서는 저축은행으로 장사하는 편이 훨씬 나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성희 기자 bob282@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