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경제부는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R&D에 모두 1168억원을 지원하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이번에 마련된 지원책을 보면 태양광, 풍력, 수소연료전지, IGCC(석탄가스화복합발전), 원자력, CCS(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 전력IT 등 총 15개 부문을 광범위하게 포함하고 있다.
이중 592억원이 신재생에너지기술 분야에 집중적으로 지원된다.
증시 전문가들은 이같은 내용을 담은 이번 정부 발표는 관련 산업에 추동력이 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한화증권 이충재 연구원은 “특히 이번 R&D 지원책이 태양광과 풍력 분야 등 주요 이슈 대부분을 다루고 있다”며 “정부의 녹색성장과 신재생에너지 산업을 미래성장 동력으로 삼겠다는 정책 의지를 간접적으로 느낄 수 있다”고 평가했다.
이 연구원은 이어 “국내 업체들의 국제경쟁력에 대한 우려를 씻고 국내 신재생에너지 기술수준을 높이는 계기가 될 수 있다”며 “현대중공업과 현대자동차, 두산중공업, 삼성중공업 등이 태양전지와 풍력발전 등 과제에서, POSCO가 제철산업에서의 이산화탄소 포집 및 재자원화 기술개발 부문에 선정되는 등 국내 주요 대기업들이 R&D 지원 참여기관으로 선정된 만큼 주목된다”고 말했다.
그는 “세계 각국들이 신재생에너지 산업분야의 기술확보를 위한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다”며 “특히 중국은 자국 시장을 무기로 해외 선진 기업의 기술을 이전받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소개했다.
이에 따라 국내 업체들의 국제 경쟁력에 대한 우려가 생겼고, 이번 정부의 계획은 이런 측면에서 국내 신재생에너지 산업기술 수준을 높이는 계기가 될 것이란 설명이다.
한국투자증권 박소연 연구원은 “이번 정부 대책은 상반기 적극적인 재정투입으로 최악의 상황을 벗어났지만 아직 기업 설비투자로의 선순환 고리가 완벽하게 만들어지지 않아 자칫하면 경기회복의 불씨가 꺼질 수 있다는 불안감이 남아 있기 때문”으로 풀이했다.
박 연구원은 “실제 소비재판매 등은 회복세를 보인지 오래됐지만 설비투자는 계속 부진해 경기회복의 지속성과 강도를 의심하게 만들었다”며 “지난달 말 회복세를 보인 가운데 녹색 및 신성장동력 관련 산업에 정부가 매우 강력한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는 것을 다시 한번 획인하는 계기”라고 말했다.
실제로 지식경제부는 17개 신성장동력 산업의 R&D 투자 세액공제율을 대폭 인상하는 등 ‘녹색산업’을 통한 정책적 이슈가 단기에 끝나지 않을 것임을 시사했다.
한편 이날도 신재생에너지 관련주들은 강세 흐름을 이어갔다.
풍력발전 관련주인 효성이 2.82%, 탄소배출권 관련주인 포휴먼과 후성이 각각 5.27%, 2.38% 등의 상승세를 보였다.
또 핵융합실험로 제작 참여업체인 현대중공업도 1.03% 오름세를 보였다.
배동호 기자 dhb@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