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4일 ‘매경 홍콩 비즈니스포럼’에 참석하고자 홍콩을 방문해 “선진국 경제가 조기 회복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며 “수출보다는 내수 확대를 통한 경기 회복에 주력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진 위원장은 이날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한국경제가 회복국면에서 성장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할 수 있도록 하겠다”며 “금융회사의 장기 외화유동성 확보를 확대해 외화차입 구조를 개선하고, 중기대출 및 주택담보대출에 대한 위험관리도 강화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그는 “그동안의 성과에도 불구하고 현재 만족하기 보다는 미래를 위해 위기극복 및 경제체질 개선, 재도약 준비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성장잠재력 확충에 대한 한국의 노력을 강조하며 “저탄소 녹색성장을 한국경제의 새로운 성장엔진으로 삼는 한편, 생산성·경쟁력 제고의 기회가 풍부한 교육·의류·물류 등 서비스산업 육성에도 주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점차 가속화되고 있는 기업 구조조정에 대해서는 부실채권이 확대된다면 구조조정기금을 통해 신속히 처리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기업의 재무구조를 보다 건전하게 만들어나갈 계획도 소개했다.
진 위원장은 “이같은 한국정부의 정책적 노력으로 한국경제의 신속한 회복을 바탕으로 해외투자자에게 매력적인 투자기회가 될 것으로 확신한다”고 기대했다.
FTSE 선진국지수 가입에 따른 주식시장 여건이 개선되고, 기업 구조조정에 따라 부실채권(NPL) 및 부실자산시장도 크게 열릴 것으로 전망했다.
관리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