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은 23일 오전 본관 지하 1층 현송장에서 `5만원권 발행개시 행사`를 개최했다.
이성태 한은 총재는 축사를 통해 "지난 1973년 1만원권 발행 이후 1인당 국민소득이 110배 이상 커졌고 정액 자기앞수표가 고액권 대신 널리 사용되면서 사회적 비용이 많이 들었다"며 "이에 따라 36년 만에 새 고액권인 5만원권이 발행돼서 기쁘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한은은 발권당국으로서 안전하고 편리한 은행권을 만들어서 여러분에게 공급해야 할 막중한 책무가 있어 감회가 더 깊다"고 강조했다.
이 총재는 도안 인물이 여성인 점과 띠형 홀로그램 등 첨단 위조방지장치, 시각장애인 배려에 주안점을 둔 것을 5만원권의 특징으로 설명하고 차질없이 고액권을 발행한 한은 발권국 직원들과 도안자문위원, 조폐공사 등을 격려했다.
금융기관들은 이날 9시부터 은행 점포의 문을 열면서 고객들에게 5만원권을 공급하고 있다. 한은도 발권국과 지역본부에서 1인당 20장(100만원) 한도로 5만원권을 교환해준다.
이날 금융기관의 5만원권 인출수요는 서울지역 5620억원을 포함해 모두 1조3530억원으로 잠정 파악됐다고 한은은 밝혔다.
한은 관계자는 "이달말까지 누계 2조원(4000만장) 안팎의 5만원권 인출수요가 예상된다"면서 "한은은 금융기관의 수요에 따라 고액권을 충분히 공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5만원권의 빠른 번호(AA*******A) 100만장 가운데 1∼100번 100장은 한은 화폐금융박물관에 전시한다. 101∼20,000번 1만9천900장은 일반인을 대상으로 인터넷 경매를 실시한다. 한국조폐공사는 경매 일정과 방법 등을 7월중에 발표할 예정이다.
김성희 기자 bob282@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