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총재는 지난 12일 한은 59주년 기념식 축사에서 “부실 기업의 정리가 늦어질 경우 신용위험 우려가 해소되지 않아 금융시장이 조기에 정상화되기 어렵고 우리경제의 대외경쟁력이 약화될 가능성이 있다”고 강조했다.
이 총재는 “단기외채 의존도를 낮춰 해외자본의 대규모 유출입에 따른 시장불안의 소지를 줄이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며 “금융사들의 지나친 자산확대 경쟁에 나서지 않도록 하기 위한 장치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또 위기상황에 대응한 그간의 확장적 통화 및 재정정책이 중장기적으로 경제에 부담을 주지 않도록 유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총재는 “앞으로 금리정책은 최근 나타나고 있는 실물경제와 금융시장의 개선 움직임이 추세적 현상으로 이어지도록 하는데 주안점을 둘 것”이라며 “빠르게 늘어난 단기 유동성이 부동산 등 자산가격의 불안을 초래할 가능성에도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덧붙였다.
그는 향후 경기에 대해 “우리 경제는 개선 움직임을 이어갈 것으로 보이나 국내외적으로 적지않은 불안요인이 상존하고 있어 본격적인 회복국면으로의 진입이 순탄하지만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망했다.
그는 “세계경제의 부진이 지속되고 주요국 금융기관의 부실자산 정리가 지연되면서 국제금융시장 정상화에 상당한 기간이 소요될 가능성이 있다”면서 “주요 금융기관의 부실자산 정리 지연과 국제원자재 가격 상승세 등으로 인한 물가불안, 북핵 문제와 관련된 지정학적 리스크 등 안정적 성장의 걸림돌은 여전하다”고 지적했다.
김성희 기자 bob282@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