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은행들은 중기대출 비율 규제로 중소기업 대출을 크게 늘리면서 대출 연체율이 다시 반등하는 등 건전성이 악화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29일 은행권에 따르면 국민, 신한, 우리, 하나은행 등 4대 은행들은 지난 1분기 중기대출 양해각서(MOU) 목표치를 모두 달성했다.
은행별로 살펴보면 하나은행의 지난해 1분기 중기대출 잔액은 1조원으로 1분기 중기대출 목표액인 5600억원의 두 배 가까운 대출실적을 기록했다.
우리은행도 1조7600억원으로 목표액 1조5000억원을 넘어서 상반기 MOU목표치인 3조원의 절반 이상을 달성했고 신한은행 역시 1조4000억원으로 목표액보다 3000억원을 초과했다.
국민은행 역시 3조200억원으로 1조9000억원 목표액을 크게 넘어섰다.
이처럼 은행들은 중기대출 목표치를 채웠지만 이에 따른 리스크 부담에 걱정은 따를 수 밖에 없다.
은행 관계자는 “금융당국은 올 중기대출 목표 가운데 60%를 상반기에 집행하라고 했지만 대출 비율을 맞추라는 무조건적인 중기대출 증가는 향후 건전성에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에 따라 은행들은 중기대출 MOU 목표에 대한 조정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중기대출 수요가 줄고 대출 연체율도 다시 오르는 상황에서 무리한 보증 남발은 부작용을 낳을 수 밖에 없다”며 “MOU 목표 수정은 불가피하다”고 진단했다.
금융당국도 현행 MOU가 오는 6월에 시한이 만료되는 만큼 은행들과 올해 중기대출 목표치(50조원)에 대한 하향 조정에 대해 논의할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은행들은 정부의 방침에 따라 상반기 집중 지원 계획의 수정은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은행 관계자는 “대출 목표액을 조정하려면 금융당국과 실무적으로 협의 단계를 거쳐야 하기 때문에 쉽지 않을 것”이라면서 “그러나 무리하게 중기대출 목표액을 맞추다 보면 건전성은 악화될 수 밖에 없다”고 토로했다.
한편 중소기업에 무리하게 대출을 늘리기 보다는 차라리 중견기업에 대한 대출지원 실적을 중소기업 대출 할당량에 포함시켜야 한다는 견해도 제기되고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중견기업들은 금융지원을 받고 싶어도 받지 못하는 기업들이 대다수”라며 “중소기업 대출지원을 중견기업들에게 늘려 대출 할당량에 포함시켜 부담을 줄이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라고 말했다.
김성희 기자 bob282@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