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금융지주는 24일 카드업을 하는 하나카드 주식회사(가칭) 주식 6000만주(지분율 100%)를 3033억2242만5060원에 취득키로 결의했다고 공시했다.
카드사 분사는 김승유 회장의 숙원이었다. 김 회장은 지난해부터 "카드 회원수가 500만명이 넘으면 카드 분사를 할 수 있다"는 뜻을 내비쳐왔다.
카드 분사를 통해 카드 사업이 갖는 전문성을 살리고 비은행부문의 수익 창출원을 만들겠다는 구상인 셈이다.
하나지주 측은 카드고객에 맞는 독자적 시스템을 강화하고 금융을 비롯 유통·통신·물류 등 다양한 제휴처를 확보해 서비스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 독립된 경영으로 은행에서 발생하는 부실이 전이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고 기대했다.
카드사 설립은 신설되는 카드사가 발행하는 주식 100%를 은행 기존 주주들의 지분율에 비례해 배분하는 인적분할 방식이다. 분할되기 전 발생한 은행의 일부 채무에 대해선 카드사와 함께 연대 책임을 지게 된다.
하지만 글로벌 금융위기의 잔재가 완전히 가시지 않은 상황인 만큼 우려의 목소리도 있다.
조달 금리가 높아질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통상 카드사 조달금리는 은행 자체 조달금리보다 다소 높다. 포화상태의 카드업계에 후발주자로서 뛰어드는 부담도 만만찮다.
하나금융지주가 지난 1·4분기에 3250억원의 순손실을 기록했다.
한편 하나금융지주는 이날 1분기에 4180억원의 영업손실과 3250억원의 순손실 등 적자를 기록했다고 공시했다.
하나금융의 주력 자회사인 하나은행의 1·4분기 순손실 규모는 3034억원에 달했다.
하나금융 측은 1·4분기에 보수적 대손충당금 적립과 일회성 손실 발생 때문이라고 밝혔다. 환율 변동성에 따라 태산LCD 관련 추가 대손충당금을 1936억원이나 적립했고, 2차 구조조정 대상업체 전체에 대해 모두 고정이하의 보수적 건전성분류를 하는 등 위험에 대비한 엄격한 기준을 반영한데 따른 것이다. 또 은행의 명예퇴직에 따른 명퇴금 689억, 메릴린치 와 BOA 합병 투자손실(705억원) 등 일회성 요인을 반영했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관리자 기자 admin@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