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5일 금융권에 따르면 은행들은 신용등급 7등급 이하를 대상으로 저신용자 전용 대출상품을 출시할 계획이지만 10등급 저신용자는 대출대상에서 제외한다는 방침이다.
최근 금융당국은 은행들과 공동으로 저소득층 금융지원 활성화를 위한 테스크포스(TF)를 구성해 경기침체로 고통을 받고 있는 서민들에게 이자부담을 덜어주겠다는 취지로 저신용자 대출상품을 판매하기로 했다. 은행들이 저신용자 상품을 본격적으로 취급함에 따라 앞으로 약 24만명(1인당 평균 500만원)의 저신용층이 혜택을 받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은행들은 저신용자 대출상품을 총 1조3600억원까지 판매할 계획으로 2월말 현재 1600억원 가량 대출이 이뤄진 점을 감안하면 저신용자에게 1조2000억원이 추가로 공급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저신용자 신용대출의부실화 가능성이 높은 만큼 모든 저신용자들에게 대출혜택은 돌아가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저신용자 대출이 부실해지면 은행 건전성 등에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며 “10등급 저신용자들은 제외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또 다른 은행관계자도 “저신용자들인 만큼 연체 리스크가 크기 때문에 10등급 저신용자들은 대출 혜택을 받지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러나 저축은행이나 대부업체에서 고금리로 대출을 받았던 7등급 이하의 저신용자들은 연 10%대의 금리로 이자부담이 줄어들 것”이라고 설명했다.
대출상품을 판매하고 있는 은행 관계자도 “영업점에서 실적 관리를 위해 연체 가능성이 높은 10등급 저신용자에게는 대출상품을 판매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연체리스크가 큰 만큼 저신용자 대출상품의 판매는 소극적일 수밖에 없다”고 덧붙였다.
실제로 현재 저신용자 대상으로 대출상품을 판매하고 있는 곳은 우리, 부산, 전북, 농협, 하나은행 등 총 5곳이지만 이들의 판매실적은 지난달 말 1579억원으로 판매한도 5900억원보다 크게 못미치고 있다.
한편 이번 조치는 저신용자들이 필요로 하는 자금을 지원 받을 수 있는 길이 확대됐다는 점에서는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지만 이들에게 실질적인 효과로 얼마나 이어질 지는 의문이라는 지적이다.
김성희 기자 bob282@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