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지난 15일 하반기 금융시장·산업 상황 점검을 위한 합동 워크숍을 개최하고, 은행 등 금융회사의 건전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대출확대 등 외형경쟁 관리를 강화하기로 했다.
이처럼 금융당국이 은행들의 리스크관리, 건전성 감독 강화 방침을 밝힘에 따라 국민은행, 우리은행, 신한은행, 하나은행 등 시중은행들도 선제적 리스크관리를 위해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국민은행은 무리한 여신 증가 억제를 위해 최근 신규여신에 대한 영업점장 금리할인 전결권을 폐지했다.
또 우량등급 여신 및 특화상품에 대한 네고금리 승인기준을 대폭 강화하고, 타금융기관 대환대출 취급시 본부 승인금리 운용 중지 등을 내용으로 하는 내부 기준금리를 상향 조정했다. 이와 함께 한도성여신 신규약정 억제 및 부동산 PF 취급기준도 강화하고 있다.
국민은행 관계자는 “매주 단위로 여신 포트폴리오 분석 및 연체 Vintage분석 등을 실시해 특이사항 발생시 추가분석을 통한 원인파악 후 대응방안을 마련하는 등 안정적인 건전성관리가 되도록 상시적인 모니터링을 수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특히 건설업 및 부동산업 등 경기민감업종, 플라스틱제조업 등 유가급등 관련 업종 등을 관리대상업종으로 선정해 영업점 전결권을 제한 운용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신한은행은 지난달 23일 여신심사그룹 내에 ‘기업회생TF팀’을 구성, 투자등급이 낮은 580여개 기업에 대해 재점검한 후, 지원 대상 중소기업들을 선별하고 있다. 은행측은 대출 연체로 고생하는 기업 중 회생가능성이 높은 업체를 선별해 추가적인 대출 지원 등으로 중소기업 살리기에 나서고 있는 것이다.
즉 무차별적으로 중소기업 대출을 줄이기보다는 정상화 가능성이 있는 기업들을 살려 은행의 부실을 줄이겠다는 의도다. 은행 관계자는 “추가 지원을 통해 정상화될 수 있는 기업을 살리게 되면, 은행의 대출 부실도 줄일 수 있다”며 “올해말까지 50여개의 중소기업을 선별해 추가 지원을 할 생각”이라고 밝혔다.
우리은행도 경기에 민감한 건설, 음식, 숙박업종을 특별관리업종으로 지정, 여신심사를 강화하고 영업점장 전결권을 축소했다.
또 최근 유가 관련업종도 특별관리업종으로 분류하여 관리하고 있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최근 조직개편을 통해 카드심사기능을 카드사업본부에서 여신지원본부로 이전하여 리스크 관리를 강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1분기 소호대출을 중심으로 건전성이 악화됐던 하나은행도 2분기부터 적극적인 연체 감축 노력 및 대손상각/NPL 매각 등을 하고 있다.
이는 소호와 중소기업을 포함한 일부 업종의 연체율이 증가 조짐을 보이고 있어 발빠른 대처가 필요하다는 판단 때문이다.
하나은행 관계자는 “건전성 강화를 위해 부실자산 상각과 함께 부실채권 매각에도 신경을 쓰고 있다”며 “6월중 대손상각/NPL 매각 후에도 추가 충당금 증가 규모가 줄었으며, 월중 연체대출금 증가 속도 또한 하락하는 추세”라고 말했다.
정하성 기자 haha70@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