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유가 지속과 글로벌경기 둔화로 인해 대출채권이 부실화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또 최근 대출형태가 신용중심 대출로 확대됨에 따라 은행의 여신건전성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초래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3월말 현재 예금은행의 기업대출 잔액은 465조8000억원이다. 이는 2007년말보다 25조8000억원 증가한 것으로, 우량 중소기업뿐만 아니라 대기업에 대한 대출이 대폭 증가했기 때문이다.
이와 함께 3월말 현재는 가계대출의 잔액이 367조7000억원으로 지난해말보다 4조원이상 증가했다. 이처럼 은행권 대출이 급증하면서, 여신건전성을 걱정하는 분위기가 팽배해지고 있다.
실제로 지난 20일 이성태 한국은행 총재 주재로 한은에서 개최된 금융협의회에서 은행장들은 “고유가 지속과 글로벌 경기 둔화에 따른 어려움이 상당 기간 이어질 것”이라며 “이를 감안해 대출자산의 건전성 유지에 각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은행장들은 또 “올해 들어서 대기업 M&A자금 수요, 기업 운전자금 수요 등으로 대출의 높은 증가세가 이어지고 있으나 앞으로 신 BIS(국제결제은행) 협약 시행, 순이자마진 감소 등의 영향으로 대출운용에서 신중해질 것”이라고 덧붙었다.
이에 앞서 18일 열린 경제동향 간담회에서도 이동걸닫기

이와 관련해 구본성 한국금융연구원은 ‘최근 대출의 특성과 여신관리’라는 보고서에서 “최근 대출형태가 담보형이나 보증형 대출 이외에 신용형 대출로 확대됨에 따라 기존 여신형태에 비해 여신위험이 확대될 수도 있다”고 밝혔다.
구 연구원은 “최근 대출구조의 특징은 대출 제공기관의 확대와 신용형·단기성 대출의 확대, 수도권지역의 대출확대 등”이라며 “이는 대출기회를 확대시키는데는 기여할 수 있으나, 여신관리 측면에서는 부채위험 및 지역위험, 만기위험을 확대시킬 수 있어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가계대출이 은행권 이외에 상호금융 등과 같은 신용협동기구와 여신전문기관으로 확대되고 있어 대출기회가 전반적으로 확산되고 있다는 것이다.
여기에 자금용도별로는 주택구매 이외에 단기 운영자금 마련, 생활자금 등과 같은 단기자금수요가 최근 확대되고 있고, 지역적으로는 수도권 대출비중이 높아지고 있는 반면 비수도권의 대출은 위축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구 연구원은 “가계대출의 수도권 집중화 현상이 심화될 경우 비수도권지역의 경기둔화나 부동산시장의 회복을 지연시킬 소지가 있다”며 “비수도권의 경기침체가 가속화되지 않도록 지역간 여신동향에 대한 모니터링도 강화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경기침체에 따른 일부 지역의 부동산 가격 하락 등이 기업대출 및 가계대출의 부실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는 분석인 것이다.
특히 구 연구원은 “최근과 같은 대출구조가 장기화될 경우 거시경제 여건을 고려한 대출기준이나 장기 신용도를 근거로 대출정책 조정을 검토해야 하며, 이 경우 신용평가기준의 변경이나 완화에 비해 중장기 대출여건을 고려한 안정된 기준을 적용함으로써 중장기 건전성에 미칠 영향을 최소화해야 한다”며 “특히 대출확장 국면이 장기화될 경우 대출위험에 대한 평가기준을 보수적으로 운영함으로써 경기위축이나 신용위축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금융권 관계자는 “최근 몇 년간 대출을 늘려온 은행들로서는 경기둔화 및 물가급등 등으로 인해 대출의 연체 증가를 피할 수 없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정하성 기자 haha70@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