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창용 부위원장은 13일 명동 은행회관에서 시중은행 부행장들과의 간담회를 열고 “원활한 금융정책 추진과 효과의 극대화를 위해서는 금융시장 안정이 전제돼야 한다”며 “은행에게 요구되는 가장 기본적인 기능은 리스크 관리를 통한 금융시장의 안정에 있다”고 말했다. 이 부위원장은 “금융위원회 출범이후 민영화·규제완화 등 은행산업 발전과 경쟁력 제고를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중에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미국의 경기침체, 서브프라임 여파, 고유가 등으로 대내외적 경제상황이 악화될 가능성이 높다”며 “리스크 관리를 강화해 경제전반의 안전판 역할을 충실히 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또한 이 부위원장은 “최근 은행이 취급하는 KIKO 등 파생상품 등에 대한 소비자 보호문제에 더욱 관심을 가져달라”고 당부했다.
한편 이날 간담회에서 발제를 맡은 구본성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원은 “은행산업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3Re’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3Re’는 △대내외 환경과 내부경영 여건을 고려한 성장전략 마련(Refinement) △경영위험 요인에 대한 선제적 대처를 통한 장기건전성 확보(Re-examination) △장기발전을 위한 수익기회의 확충(Rebuilding)이다. 구 연구원은 “자산증가세와 총익익 수준 및 건전성 지표 등을 감안해 볼 때, 은행권의 경영성과과 건전성은 현재까지 양호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고 전제하고, “그러나 고유가 및 인플레이션, 경상수지 악화 등 대외여건의 불확실성이 확대되고 있고, 머니 무브에 따라 수신기반이 정체되는 등 은행권의 위상도 악화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와 함께 지속적인 자산성장으로 성장기회 위축소지가 있고, 최근 BIS 비율이 하락하는 등의 문제점도 있다고 지적했다.
관리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