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우리금융과 기업은행의 민영화 일정이 구체화되고, 외환은행 인수 문제가 가닥이 잡히게 되면 은행권의 새판짜기는 더욱 가속도가 붙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 산은, 독자생존 어렵나
금융권 일각에서는 민영화 이후 산은의 독자생존에 대해 의구심을 나타내고 있다. 개인금융 측면에서 채널과 인력부족으로 시중은행들과 경쟁하기 쉽지 않고, 기업금융측면에서도 자산운용 및 자금조달의 변화가 예상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산은의 민영화 과정에서, 은행권이 또 한번 M&A폭풍에 휩싸일 가능성이 높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실제로 산은안팎에서는 산은과 다른 은행간 M&A와 관련한 발언이 계속해서 나오고 있다.
전광우 금융위원장은 산은 민영화 방안 발표자리에서 “매각과정에서 시장 자율적으로 다른 은행과 M&A할 가능성이 열려 있다”고 밝혔다. 민영화 실무를 총괄하는 산업은행 윤만호 이사도 “수신 기반 확대를 위해 장기적으로 은행을 인수·합병(M&A) 하는 방안도 고려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금융권에서는 산업은행과 우리금융이나 기업은행 등 간 M&A방식이 거론되고 있다. 하나대투증권 한정태 연구원은 “산은과 우리금융이나 기업은행 등을 묶는 메가뱅크로 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산은과 우리금융, 산은과 기업은행 등이 합칠 경우 대형은행이 탄생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하지만 부정적인 의견도 만만치 않다.
메리츠증권 임일성 연구원은 “산은 민영화 과정에서 메가뱅크 형태보다는 우리금융과 기업은행이 개별적으로 매각될 때 민간 금융의 발달을 촉진하고 M&A 프리미엄이 높아질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기업은행도 산은과의 합병에 대해 탐탁지 않게 생각하는 분위기다.
이경준 기업은행 수석부행장은 최근 기자간담회에서 “수신기반이 약해 자금조달 부분에서 공통적으로 약점이 있는 산은과 기업은행이 결합하면 시너지효과가 크지 않을 것”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 M&A는 생존전략
산은의 민영화 발표이후 국민은행과 하나금융 등 그간 M&A에 적극적인 은행들의 행보가 주목되고 있다.
하지만 민영화의 구체적인 일정과 예상 매각가격 등이 결정되지 않은 상황으로 인해 현재 이들 은행들의 행보는 조심스러울 수밖에 없다. 변수는 ‘외환은행 인수’다. HSBC은행이 외환은행 인수에 실패한다면 국민과 하나금융은 외환은행 인수에 뛰어들 태세다. 하지만 HSBC은행이 외환은행 인수에 성공할 경우, 이들 금융기관들은 산은 등 국책은행 인수에 적극적으로 나설 것이란 관측이다.
미래에셋 이창욱 연구원은 “그간 국민은행은 M&A에 소극적인 태도를 보여 왔다. 그러나 적극적 자본활용정책을 요구하는 주주들의 압력 등으로 인해 향후 M&A에 적극 뛰어들 것”이라며 “충분한 자본력 등으로 인해 향후 국내 대형 금융회사 인수 후보자로 국민은행이 거론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국민은행의 합병 파트너로 외환은행이나 기업은행 등이 꼽힌다. 이들 은행이 국민은행의 취약점을 보완해 줄 수 있기 때문”이라며 “기업은행과 외환은행 인수에 실패할 경우, 국민은행은 다른 국책은행의 M&A에도 참여할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하나금융도 M&A에 적극 나설 것이란 분석이다. 은행권 관계자는 “국민, 신한, 우리 등 ‘빅3’에 비해 하나금융은 자산 등에서 계속해서 밀리고 있는 상황”이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 하나금융이 무리해서라도 우리금융, 산업은행, 기업은행 등의 인수에 적극 나설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정하성 기자 haha70@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