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쏟아지고 있는 2007년 부동산 시장 전망을 살펴보면, 경제연구소들은 일본식 버블 염려를, 부동산업계 전문가들은 소폭 상승을 예상해 상반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
박 팀장은 “일본식 버블 등 붕괴가능성이 점쳐지려면 금리변수가 핵심으로 등장해야 한다”며 “최소 1%는 올라야 이자상환부담을 체감하겠지만 경제연구소 조차도 하반기 금리하락을 예상하고 있어 실현가능성이 희박하다”고 전했다.
그가 부동산 시장의 주요변수로 꼽고 있는 것은 수급문제. 공급이 달리는 상황에서 부동산 실수요 층이 여전히 버티고 있어 가격상승이 예상된다고 분석했다.
우선 공급측면에서는 올 부동산시장 분양물량이 전년에 비해 상당히 줄 예정이다. 2주택 이상 주택소유자들도 보유세·양도세가 부담이지만 매물로 내놓기 보다는 증여를 더 고려하고 있다.
이같이 2주택 이상 보유자들이 증여를 고려하는 것은 현금화를 할 경우 재투자수단이 마땅치 않다는 점, 현재 보유 중인 규모의 주택을 다시 마련하기가 쉽지 않다는 점, 무엇보다 취·등록세를 포함한 증여세가 오히려 양도세보다 적을 가능성이 높다는 점 때문이라고 박 팀장은 밝혔다.
수요측면에서는 최근 전세가대란, 부동산가격 폭등을 지켜본 실수요자를 중심으로 주택구입에 적극 나서고 있다. 이에 따라 매매시장은 물론 분양시장까지 달굴 것으로 박 팀장은 예상했다.
그가 꼽은 부동산 시장의 또 다른 변수는 대통령선거. 과거 부동산시장과 대선과의 상관관계는 크지 않았지만 올 해는 다를 것이라는 게 박 팀장의 주장이다.
그는 “최근 대선주자들이 쏟아내고 있는 부동산관련 정책들은 규제완화를 예상하기에 충분하다”며 “이 같은 요인이 호재로 작용해 심리적 요인을 자극하고 궁극적으로는 가격상승을 부채질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렇다면 현 시점에서 부동산 매입을 적극 고려해도 될까? 박 팀장은 투자목적 매입은 만류한다. 최근 20~30% 급등에 따른 단기고점에 대한 우려감과 함께 무엇보다 세금문제가 만만치 않다는 것.
그는 “작년 10월 부동산 가격이 폭등할 당시 1주택 보유자들의 추가 주택매입 시도가 일부 있었다”며 “그러나 단기 급등에 따른 고점형성과 보유세 부담으로 투자목적의 문의는 찾아보기 어렵다”고 밝혔다.
그러나 실수요자라면 시기를 고르기 보다는 관심지역에 매물이 있을 경우 적극 매수하라고 전한다. 그는 “부동산 전세가가 동반 상승하고 있어 오른 매매가에 대한 굳히기가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라며 “이에 따라 최근의 주춤세도 3~4개월을 넘기지 못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편 최근 PB고객들은 주택보다는 3~5억원 정도로 투자할 수 있는 상가와 토지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는 게 박 팀장의 설명이다. “종부세를 피할 수 있고 노후를 대비하기 위해 부유층들은 소형빌딩이나 상가투자에 관심이 높다”며 “하지만 이미 상가도 많이 올라있고 투자수익률이 5%를 넘기 어려워 주의가 요망된다”고 말했다. 토지도 최소 4~5년의 장기투자를 염두에 둔 투자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남현 기자 nhkim@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