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에 대해 관리기금측은 지급보증에 따른 형식적인 조치일뿐 이라고 설명하고 있으나 업계 관계자들은 종금사 폐쇄에 대비, 향후 보증에 따른 해당 종금사와의 분쟁을 사전에 막기위한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
한편 담보제공 요청을 받은 해당 종금사들은 외화대출을 해준 市場에게도 담보를 맡기지 않았으므로 관리기금에만 이를 제공할 경우 은행들의 반발이 예상된다며 이를 거부하고 있다.
8일 종금업계에 따르면 영업정지 종금사의 대외채무 지급을 위해 이들 회사의 외화대출시 지급보증을 서줬던 신용관리기금이 최근 해당 종금사에 지급보증액 1백30% 규모의 담보 제공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따라 지난해말 대외채무를 갚기위해 관리기금의 지급보증을 받아 韓銀의 자금지원을 받았던 고려, 경남, 삼삼, 신한, 한화등 대부분의 영업정지 종금사들은 사당 5천만달러에서 많게는 1억달러 안팎의 담보를 보유중인 유가증권등으로 제공해야 한다.
관리기금관계자는 이에 대해 “지급보증에 따른 일반적인 절차일뿐”이라며 “종금사가 보유하고 있는 모든 채권의 가격이 떨어져 있어 보증액의 1백30%규모의 담보를 제공토록 했다”고 말했다.
그러나 업계 관계자들은 이것이 종금사의 폐쇄에 대비한 사전작업이라는데 의견을 모으고있다.
한 관계자는 “정부의 방침대로 관리기금이 외화대출시 지급보증을 서긴 했으나 예상대로 상당수의 종금사가 문을 닫게될 경우 5~6억달러에 달하는 빚이 고스란히 관리기금 몫이 된다”며 “더욱이 관리기금은 종금사의 재산실사를 통해 각사의 정확한 채권리스트를 확보하고 있어 손쉽게 담보를 챙길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해당 종금사들은 관리기금측에만 담보를 제공할 경우 외화대출을 해준 은행들의 반발이 예상돼 이를 받아들일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어 당분간 이 문제로 인한 마찰이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박태준기자
관리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