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대근 농협중앙회 회장도 대표이사 및 임기만료된 집행간부 교체, 자회사 및 계약직 본부장 낙하산 인사, 농림부 출신의 낙하산 인사 등에 대한 노조의 요구중 일부에 화답한 셈.
이에 따라 인사개혁의 첫 단추가 될 이달 말 예정인 임원 인사에 대한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농협중앙회 노조는 인사개혁을 위한 6가지 사안들을 요구했다. 그중 첫번째가 현 신용·경제대표이사 2명과 집행간부 13명중 임기만료된 8명의 임원을 전면 교체하라는 것이다.
수년간 의사결정 자리에 있으면서 농협개혁은 이뤄지지 않고 내외부에서 계속적으로 개혁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은데 대한 책임과 더 이상 유임이나 지역본부장 등으로의 재선임은 농협 개혁을 가로막는 것으로 보고 있기 때문이다.
정 회장은 이같은 요구에 대해 신용·경제대표이사(임기4년)의 경우 임기가 2년 남아있는 상황에서 연말에 인사를 단행하면 법률상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등의 고충을 노조에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당시 정 회장의 측근에 따르면 “내년 7월부터 새로운 농협법을 적용함에 따라 전무이사를 새로 선임해야 하기 때문에 이때 신용 경제 대표이사도 함께 선임할 것을 밝혔다”고 전했다.
단 임기가 돌아온 집행간부에 대해선 전면 교체할 것임을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집행간부 중 김병육, 김장규, 남영우, 여규동, 정공식, 조공제, 조관일, 조대영 상무 등 8명의 간부가 올해말로 임기가 끝난다. 이에 따라 이달 말 있을 인사에서 어떻게 결론이 내려질지에 대해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특히 남영우 상무, 정공식 상무 등은 젊은 나이에다 업무에 있어서도 내부적으로 좋은 평을 받고 있어 이들의 유임여부를 놓고 고민에 빠질 수밖에 없는 상황.
또 농림부 출신의 임원선임 등 낙하산 인사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어 이번 인사를 통해 그 동안 줄기차게 요구된 인사개혁에 대한 숙원이 풀릴 수 있을지 주목된다.
중앙회 노조는 명예퇴직한 임원이 계약직 지역본부장이나 자회사 임원으로 자리를 옮기거나 이들 임원이 반복적으로 재선임되는 등 잘못된 인사관행도 개혁될 부분의 하나로 꼽았다.
이밖에 신용업무에만 있다가 갑자기 경제사업 자회사 임원으로 선임되는 등 전문성이 고려되지 않는 인사관행도 개선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번 인사의 대상이 되는 한 집행간부는 “인사개혁에 대해선 관점의 차는 있을 수 있다”며 “사업상 필요에 의해 외부기관에서 임원이 올 수도 있고 신용, 경제를 울타리 치는 것보다는 이를 다 아우를 수 있는 임원이 필요한 때도 있다”고 말했다.
원정희 기자 hggad@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