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국감 우수의원 5명 가운데는 1명꼴로 여성의원 이름이 올랐는데 유난히 눈에 띄는 여성의원이 있었다. 바로 노동운동 외길을 걷다 이번 17대 국회에 첫 입성한 민주노동당 심상정 의원이다.
국회 재정경제위원회 국감장에서 그의 질의를 지켜본 다른 의원들과 보좌진들도 심 의원의 이번 국감준비가 철저했던 데 대해 혀를 내두르는 분위기.
심 의원측의 한 보좌관은 “지난 7월부터 국감자료를 챙겼지만 경험이 부족한 관계로 시행착오를 겪었다” 며 “그러나 심 의원이 열심히 공부하고 분석하다보니 보좌진들도 자료를 꼼꼼히 준비한 것이 좋은 평가를 얻은 것 같다”고 말했다.
그는 또 “심 의원은 자료 소화능력과 판단능력이 뛰어나 수치를 보더라도 정확하게 검토하면서 핵심사항을 끄집어냈다”고 덧붙였다.
사실 최근 이어진 국감에서 날고 긴다는 경제관료들이 그의 칼날 같은 질의에 맥을 못춘 것도 이 때문인지도 모른다.
특히 지난 4일부터 지난주까지 진행된 재경위의 피감기관에 대한 국정감사 과정을 살펴보면 그의 활약상은 뚜렷하게 나타난다.
국감 첫 날인 지난 4일 국세청 국감에서 그는 기존까지 ‘불법정치자금에 대해서는 과세가 힘들다’는 입장을 유지했던 국세청을 끝까지 몰아세웠다.
이날 심 의원은 “대가 관계가 명확하다면 불법정치자금에 대해 과세할 수 있느냐”고 따졌고 이에 대해 이용섭 국세청장은 “개별적이면서 구체적인 대가가 있는 정치자금의 경우에는 과세할 수 있다”라는 답변을 이끌어 냈다.
심 의원의 송곳 같은 질의에는 참여정부의 경제수장인 이헌재 부총리 겸 재정경제부 장관도 피해갈 수 없었다.
지난주 있었던 재경부 국정감사에서 심 의원은 이 부총리를 향해 경제정책의 문제점을 쏟아내며 코너로 몰아넣었는데 이후 국감장에 있었던 사람사이에선 단연 화제 거리로 꼽히고 있다는 후문이다. 민주노동당의 색깔에 맞게 심 의원은 정부정책에 국한되지 않고 민생현안에도 신경을 쏟았다.
그는 지난 7일 통계청 국감에서 “정부의 통계들이 양적 성장 위주로 쏠려있고 국민의 삶의 질을 평가하는 기초 통계들은 턱없이 부족하다” 며 성장 중심에서 삶의 질 중심으로 전환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지난 13일 금융통화위원회 국감에선 “금융통화위원회의 금리정책이 서민들에게 미치는 영향이 큰데도 금통위원 구성은 정부 금융계 대표들로만 구성됐냐” 며 서민을 대표할 수 있는 금통위원 구성이 필요하다고 꼬집기도 했다.
남은 국감에 대해 그는 “중소기업문제와 서민문제, 재벌의 도덕적해이, 정경유착 등 4가지 분야에 중심을 두고 진행하겠다” 며 “특히 마지막 재경부 국감에서는 재경위 내에서 카드사태에 대한 국정조사 합의가 이뤄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또 “민주노동당에 대한 서민들의 부응에 보답하기 위해 국감전부터 새벽 5시에 나와 다음날 새벽 2시까지 국감자료를 검토했다” 며 “아직까진 빙산의 일각에 불과하지만 앞으로 더 서민경제의 파수꾼으로 역할을 수행하겠다” 고 강조했다.
양창균 기자 yangck@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