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대출은 학자금 등 계절적 수요 때문에 올 들어 가장 큰 폭으로 늘어났다. 서민층을 비롯해 소득을 줄었는데 쓸 곳이 늘어났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8일 한국은행이 낸 `8월 중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은행계정 수신은 모두 3조9497억원 빠져나갔다.<표 참조>
실세요구불이 2조2445억원 줄어든 것을 비롯해 저축성예금 가운데 수시입출식에서 3조3047억원 빠진 영향이 컸다.
반면에 정기예금은 2조7601억원 늘어나 저축성예금 전체 감소 폭을 4548억원으로 방어했다. 한은은 은행들이 정기예금 이탈을 막기 위해 특판상품을 내놨기 때문이라고 풀이했다.
이어 은행에서 빠진 돈은 투신사로 몰렸다고 한은은 지적했다.
투신권 전체 수신 증가액은 은행 이탈액과 엇비슷한 3조8897억원이다. 다만 단기채권투자신탁에 2조5839억원 몰렸다. 시중자금 단기부동화는 요지부동인 셈이다.
다른 한편 은행의 기업대출은 중소기업 대출이 부진의 늪에 빠지며 7월의 2조6498억원 증가에서 3786억원 감소로 반전됐다.
대기업 대출은 2417억원 늘었는데 중소기업 대출은 6203억원이나 줄었기 때문이다.
한은은 콜금리 인하로 대출금리는 내려갔지만 경기침체로 기업의 자금수요가 줄었을 뿐 아니라 은행들이 대출자산의 부실을 막기 위해 중소기업 대출심사를 강화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은행 가계대출은 휴가비 지출과 학자금 대출 수요 등 계절적인 요인으로 3조413억원 늘어나 올 들어 가장 큰 폭을 보였다.
가계대출 가운데 주택담보대출은 1조1199억원이 늘어 났고 마이너스통장대출 증가액은 2조원에 달해 전월(4천억원)보다 증가폭이 확대됐다.
이는 계절 요인에다 소득은 줄었는데 쓸 곳은 여전했거나 늘어났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한은 관계자는 “콜금리가 통화량에 영향을 미치는 데는 시간이 걸리고 경기 침체 등에 따른 대기업의 자금수요 감소, 중소기업에 대한 은행의 대출심사 강화 등으로 기업대출이 줄어 통화량이 크게 늘어나지 않고 있다”고 설명했다.
금융기관 수신 추이
(기간중 증감, 억원)
주 : 1) 2004. 6월부터 파생상품펀드 등 간접투자펀드 운용액 포함 자료 :한국은행
정희윤 기자 simmoo@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