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 행장은 이날 오전 여의도 본사에서 가진 신년 시무식에서 "작년 대손충당금 적립규모가 5조원에 이른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국민은행이 연간 적자를 낸 것은 지난 2001년 통합 이후 처음이다.
김 행장은 올해 경영 방향과 관련 "경기회복세로 인해 은행 경영여건이 전반적으로 호전될 전망이지만 외국은행의 공세, 주택금융시장의 위축, 모바일뱅킹 경쟁격화, 신용불량자와 가계의 과다 부채 등으로 시장상황이 만만치 않다"며 "자산증가율을 경제성장률(5%) 수준으로 억제하고 성장보다는 수익 극대화를 통한 내실 경영에 초점을 맞출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김 행장은 특히 "작년에 이어 올해에도 위험관리와 자산건전성 관리를 가장 중요한 경영과제로 삼을 방침"이라며 ▲리스크 심사기법 강화 ▲연체관리 조직 정비 ▲차주별 통합관리 등 프로세스 개선 ▲모든 가계여신에 대한 신용평가시스템 확대 ▲ 조기경보와 신용관리 업무 강화에 주력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김 행장은 아울러 비이자 수수료 수익을 극대화하는데도 중점적인 노력을 기울여 중장기적으로 수수료 수익비중을 40%로 끌어올린다는 목표를 정하고 방카슈랑스, 로또, 투신상품 판매, 뱅크온 등을 통해 작년 22%의 수수료 수익비중을 올해 27%로 상향 조정하겠다고 밝혔다.
김 행장은 카드사업과 관련, "카드는 소매금융의 근간이며 여전히 매력적인 시장"이라며 "국민카드와의 통합에 따른 부실을 조기에 털어내 올해는 순익을 낼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창구업무 간소화와 관련, "앞으로의 창구직원은 텔러(Teller)에서 어드바이서(Advisor)로 역할이 바뀌고 창구에서는 단순상품보다 경쟁력있는 상품만을 판매하도록 할 것"이라며 "창구업무가 대폭 줄어든 새로운 개념의 점포도 속속 선을 보일 것"이라고 소개했다.
김 행장은 이밖에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은행이 되기 위해 ▲사회봉사 활동 강화 ▲거래 기업에 대한 지원 확대 ▲투자펀드 지원 강화 등의 활동에도 소홀하지 않겠다고 덧붙였다.
김준성 기자 yaho@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