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대부분의 시중은행이 일부 특판 상품을 중심으로 금리를 소폭 올린 상품을 경쟁적으로 내놓은 가운데 농협도 이 대열에 가세하고 있고 국제적으로도 정책 금리 인상 움직임이 감지되고 있기 때문이다. ▶관련기사 3면
더 이상 낮아지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 인상시기가 오는 것은 시간문제라는 낙관론과 경기회복세가 지표 뿐만 아니라 소비회복 조짐으로 이어져야 할 것이라는 신중론이 맞서는 형국이다.
7일 금융당국 한 관계자는 “주요국 정책금리 인상기조가 강해지고 있고 내년 국내 경기도 회복되리라는 전망이 우세한 상태”라며 “대내외 여건이 (금리)인상에 우호적이라 초입단계에 진입할 날도 앞당겨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런 예상은 영국에 이어 호주가 정책금리를 인상한 데다 미 연준도 ‘상당기간 연방기금금리 유지’라는 입장에서 ‘상당기간’을 뺄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에 기댄 것이다.
물론 현재는 경기상황과 시중 유동성이 충분히 뒷받침된 후에야 예금 금리 인상도 뒤따를 것이라는 신중론이 더 우세하다.
특판 상품과 극히 일부분의 상품 금리를 다른 상품보다 최대 0.5%포인트 올린 것 정도로 추세 전환 운운하기 어렵다는 시각도 있다.
A은행 한 관계자는 “투신 등 2금융권의 단기 자금이 은행에 갑자기 몰려들어 가뜩이나 단기 수신 부담이 많은 은행들은 장기예금을 시급히 늘려야 할 상황일 것”이라고 지적했다.
금융감독원은 분기별로 원화 유동성 비율을 점검한다. ‘잔존만기 3개월 이내 유동성자산 ÷ 잔존만기 3개월 이내 유동성부채’로 계산해 100%를 넘으면 안된다. 이 때문에 연말이 되면 은행들마다 특판 상품 등으로 장기예금을 늘린 뒤 단기대출을 늘리는 방식으로 유동성비율 문제를 해결해 왔다는 것이다.
시중 은행들도 탐색중이라는 입장이 나타난 가운데 시기상조론이 아직은 우세한 상황이다.
A은행 임원은 “아직 다른 상품으로 확산시키기는 이르다”면서도 “아직 일부이긴 하지만 대출 수요가 확인되는 등 여건이 성숙됐다고 판단되면 움직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달리 B은행 임원은 “거액 고객 유인책으로 특판 상품을 내놓았을 뿐”이라며 “당분간은 간접투자상품에 주력하면서 주요 여건을 감안해 금리를 높인 상품을 추가하겠다”고 밝혔다.
정희윤·김준성 기자
관리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