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서울보증보험은 지난 15일 금융감독원에 SG신용정보(가칭)라는 자회사의 신용정보업 예비허가 재신청을 했다.
지난 7월 28일 신용정보업 예비신청을 했으나 철회 후 지난 10월 15일 자본금 60억원, 주주구성 서울보증보험, 삼성캐피탈 각각 85%, 15% 등으로 재신청한 상태며 현재는 금감원이 관련 법규를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보증보험은 지난 99년, 2000년, 2001년에 각각 1조9500억원, 2조7000억원, 5조6000억원 등 총 10조2500억원의 공적자금이 투입된 상태다.
신용정보업계가 문제제기 한 부분은 현재 서울보증보험이 자본금의 99%이상이 공적자금이라는 사실을 감안할 때 민간사업자 주도의 신용정보업 시장에 진출하는 것 자체가 무리라는 것이다.
신용정보업계 관계자는 “10조원의 공적자금이 투여된 기관이 구조조정을 통해 갱생할 의지를 보이지는 않고 기존 민간사업자 주도의 시장에 진출하려는 것 자체가 문제”라고 말했다.
또한 서울보증보험이 금감원에 제출한 신청내용 중 SG신용정보 상시고용인력 444명이 서울보증보험으로부터 전원 유입되는 사실을 지적하며 “서울보증보험이 무늬만 구조조정을 단행하고 있는 것이 아니냐”고 비판했다.
이에 대해 서울보증보험 관계자는 “10조원의 공적자금 중 이미 1조6000억은 예금보험공사에 상환했으며 나머지 9조는 출자전환했기 때문에 더 이상 차입금의 성격이 아니다”라고 반박했다.
또한 444명의 상시고용인력에 대해서도 금감원에 예비신청을 하는 과정에 상시고용인력을 언급한 것일 뿐 추후에 얼마든지 바뀔 수 있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금감원 신용감독국 신용정보팀 서문용채 팀장은 “서울보증보험이 신용정보업계에 진출한다고 해도 법률적으로 문제는 없다”라고 말했다.
서문 팀장은 “서울보증보험이 신규사업에 뛰어드는 것이 문제가 된다면 공적자금 받은 기관은 아무것도 할 수 없다는 논리로 귀결된다”라고 덧붙였다.
서울보증보험은 지난 69년 대한보증보험으로 설립됐으며 98년 한국보증보험 합병 후 서울보증보험으로 개명해 지금에 이르고 있다.
자본금 10조3319억원, 총보증잔액 84조원(2003.3월 현재)으로 국내 최대 보증전문기관이다.
홍성모 기자 hsm@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