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지어 정부가 대북송금 경로로서 외환은행을 창구로 삼았다는 논란이 일자 당시 은행장이었던 현 김경림 이사회 회장은 7일 대북송금과 관련, “국정원으로부터 현대상선의 대북송금에 관해 협력해줄 것을 요청받은 적이 없으며 그에 관해 협의한 적도 없다”고 말했다.
김 회장은 최근 언론지상에 마치 자신 및 외환은행이 대북송금을 도왔다는 의혹이 제기되면서 이미지가 손상될 것을 우려해 이날 기자들과 만나 이같이 밝혔다.
김 회장은 또 이 자리에서 “만약 특검이 실시돼 자신을 부르면 당연히 출석해 진실을 밝힐 용의가 있다”며 “진실은 그 자리에서 판명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막상 외환은행 직원들은 송금루트 등 사건에 대한 실체가 밝혀지지 않은 상황에서 이 건에 대한 특검이 실시될 경우 김경림 회장 뿐만 아니라 당시 임원부터 말단 직원들까지 조사를 받게 될 수 있다는 데 문제의 심각성이 크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이는 그동안 ‘외환은 외환은행이다’라는 이미지 메이킹을 통해 외환영업력을 강조해왔는데 현대사건으로 인해 일반인들에게 ‘현대=대북송금=외환은행’이라는 등식으로 이미지가 낙인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외환은행 한 관계자는 “이 사건으로 인해 행내 내부에서 직원들이 어수선한 분위기에 휩싸여 있다”며 “현대의 주채권은행으로서 받은 이미지 훼손은 당분간 회복되기 힘들 것 같다”고 말했다.
김영수 기자 kys@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