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의 금융권 등급을 담당하는 야마오카 다카마사 이사는 31일 다우존스뉴스와의 인터뷰에서 한국 은행들에 대한 신용등급 상향이 가까운 시기에는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한국 은행들이 발행한 신용카드의 연체율이 증가하고 있다며 이같은 우려가 등급 상향의 "장애물"로 작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야마오카 이사는 "현재 은행들의 전망은 "안정적"이라면서 어떤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요인들이 없다면 중장기적으로 현재의 등급을 유지할 생각"이라고 밝혔다.
S&P는 지난 9월말 한국의 6개 은행들에 대한 신용등급을 일제히 상향했고 특히 국민은행에 대해서는 한국의 국가신용등급과 같은 "A-" 등급으로 상향할 것이라는 관측이 있어왔다. 현재 S&P는 국민은행과 신한지주 자회사인 신한은행에 대해서는 "BBB+"를 부여하고 있고 그밖에 조흥은행 "BB+", 외환은행"BB", 제일은행 "BBB-", 우리은행 "BB+" 등급을 제시하고 있다.
야마오카 이사는 한국의 은행들이 다음 몇분기 동안은 카도로 인한 손실을 겪게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지만 정부가 개인 부채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발빠르게 대처하고 있다는 점은 긍정적이라고 말했다. 그는 "정부가 문제의 심각성을 인지하기 시작했고 이에 대처하기 위한 조치에 나서고 있다"며 "이같은 긍정적인 시도는 향후 문제를 최소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준식 기자 impark@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