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에비해 국민, 신한, 하나 등 선발 시중은행들의 임직원 대출금리는 비교적 시장금리에 근접한 수준에서 적용되고 있었다.
금융감독원이 24일 국회 정무위에 제출한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제일, 우리, 조흥 등 공적자금이 투입된 은행들의 임직원 대출금리는 각각 평균 4.83%, 4.47%, 4.27%로 조사됐다.
이는 일반인들이 신용대출의 경우 10~12%대, 담보대출의 경우 6~7%대의 금리를 적용받고 있는 것과 비교하면 신용대출과 비교해 절반에도 못미치는 금리수준이다. 이에비해 같은 공적자금 투입은행인 서울은행의 경우 7.52%의 임직원 대출금리를 적용하고 있어 제일, 우리, 조흥은행과 많게는 3% 포인트 이상의 금리차를 보이고 있었다.
시중은행의 경우 한미은행의 임직원 대출금리가 7.48%로 가장 높았고 국민은행 6.46%, 신한은행 6.0%, 하나은행 6.91% 등으로 비교적 시장금리에 근접한 수준에서 임직원 대출금리가 적용되고 있었다.
금액별로는 은행권 전체에서 1조2296억300만원의 임직원 대출을 기록하고 있었으며 국민은행이 2653억5600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우리은행이 1487억6100만원으로 뒤를 이었다. 조흥은행도 1161억7100만원, 제일은행도 667억8300만원을 기록했다.
특히 제일은행의 경우 4200여명의 임직원을 대상으로 667억원 가량을 대출해줘 4000여명의 임직원을 가진 하나은행의 278억8700만원보다 두배이상 많은 임직원 대출을 기록했다.
박준식 기자 impark@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