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가지 시각이 있으나 잃는 것이 많을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수적인 열세로 지방은행의 목소리가 작아질 것으로 예상되는데다 대정부 금융제도 개선과 관련, 지방은행의 입김도 약화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여기에 양 은행의 지주회사 통합으로 인한 영업적인 측면에서의 외부효과 역시 미미할 것이라는 관측이다. 또 지방 경제 및 중소기업의 자금줄 역할도 상당히 위축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99년 이후 지방은행 구조조정 ‘한파’에도 살아남은 대구, 부산, 전북은행은 지난 몇 년간 총 7개 지방은행의 몰락을 지켜보는 입장이다. 99년 자금유동성 문제로 충북, 충청, 경기, 강원은행이 한꺼번에 시중은행에 합병됐고 경남, 광주은행도 오는 6월 우리금융지주회사에 들어갈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
제주은행도 마찬가지. 최근 예보가 신한금융지주회사에 제주은행 지분 51%를 매각하기로 함에따라 제주은행 역시 지방은행의 타이틀을 잃게 된다.
이제 명실공히 지방은행이라 부를 수 있는 은행은 총 3개에 불과하다.
상황이 이렇게 되자 지방은행의 목소리가 작아지는 것은 당연하며 금융정책 수립에 있어서도 유리한 고지를 선점하는 것이 어렵게 됐다.
수적인 열세로 인한 지방은행의 위축은 ‘뱅크라인’의 유명무실화, 지방은행협의회 약화에서도 잘 드러난다. 지난 97년이후 지방은행간 거래를 활성화하기 위해 평화은행 포함 7개 은행이 동참했던 뱅크라인 프로젝트는 은행들이 하나 둘 빠져나감에 따라 유명무실해졌고 매달 열리는 지방은행협의회도 명목만 유지하게 됐다.
또한 경남, 광주은행의 지주회사 통합에 따른 영업적 이득도 거의 없다. 이들 은행은 통합 이후에도 우리은행의 지방사업부 형식으로 운영돼 영업력 누수가 없고 3개 타 지방은행은 특정 지역에 국한돼 영업을 해 온 한계가 있기 때문.
물론 득도 있다. 공자금을 한 푼도 받지 않고 자력갱생했다는 자부심과 저력을 바탕으로 향후 추가 구조조정에서도 살아남을 수 있다는 확신이 바로 대구, 부산, 전북 등 3개 은행이 얻은 것이다.
전지선 기자 fnzzang@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