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드컵 개최를 앞두고 정부와 금융당국이 원화반출, 외국인 전용 자동화기기 설치 등 금융 서비스를 강화하고 있다. 하지만 은행의 실무자들은 이러한 정책들은 실효성이 극히 낮은 전시용에 불과하다는 중론이다.
11일 금융계에 따르면 정부와 금융당국이 월드컵 개최와 관련해서 추진중인 각종 금융서비스 개선 및 규제완화 조치의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서비스를 최종적으로 담당하는 은행의 입장에서는 비용 부담은 물론 리스크 증대의 우려까지 예상된다는 것.
금융당국은 월드컵 시즌을 앞두고 한시적으로 원화반출이 가능하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이와 관련 일본의 현지 은행들도 원화와 엔화를 환전할 수 있도록 허용됐다.
하지만 원화가 반출되고 현지 은행을 통해 환전할 수 있더라도 실제로 환전이 발생할 가능성은 희박하다는 게 은행 외환 담당자들의 공통된 의견이다. 더욱이 반출의 방식이 매매 방식이 아닌 위탁방식으로 정해져 있어서 현송에 따른 비용 부담이 크고 잔여금액의 재매입에 따른 리스크 부담이 높다는 것이다.
한 은행 관계자는 “일본과 중국 등 해외에서 어느 정도의 원화가 어느 수준으로 거래되는지 은행은 물론 한은에서도 정확한 통계가 잡히지 않고 있는 실정”이라며 “그렇다고 위탁에 따른 수익성이 높은 것도 아닌데 서비스를 강화한다는 명분으로 원화반출을 시도한다는 것은 무리”라고 말했다.
한편 외국인 전용 ATM 설치에 대해서도 은행의 담당자들은 부정적인 입장이다. 기존의 ATM기에 추가적인 장치만 설치하면 외국인이 이용할 수 있는 글로벌 ATM기로 전환이 가능하다는 게 정부의 설명이다.
하지만 추가 설치비는 대당 60만원에 달하며, 외국인이 국내에서 ATM기를 이용할 경우는 일부분에 불과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국내 문화와 언어에 불편을 겪는 외국인이 ATM기에 접근할 가능성도 낮고, 기왕이면 은행의 지점과 공항의 지점을 통해 비용을 환전 내지 인출할 가능성이 높다는 지적이다.
박준식 기자 impark@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