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금융에 속한 지방은행의 기능재편 작업이 난관에 부딪쳤다. 경남, 광주은행이 이달말로 발표가 예정된 AT커니로부터의 기능재편 방안과 관련, 결과에 관계없이 이를 받아 들일 수 없다는 강경한 자세로 돌아섰기 때문이다. 즉 독자생존 외에는 어떠한 방안도 수용할 수 없다는 게 두 은행이 공통된 입장이다.
금융계 일부에서는 공자금 투입의 조건으로 기능재편을 약속했던 지방은행이 이제 와서 독자생존을 운운하는 것은 있을 수 없다는 지적이다. 하지만 지역 민심과 지역에서 지방은행의 역할을 고려한다면 경남, 광주은행의 독자생존 주장도 일견 타당성이 있다는 여론도 만만찮은 상황이다.
7일 금융계에 따르면 우리금융에 속한 경남, 광주은행이 우리금융의 기능재편 방안에 다시 반기를 들고 나섰다. 이와 관련 광주은행 노조는 ‘독자생존 쟁취를 위한 100만인 서명운동’을 오는 15일까지 광주은행 전 영업점과 가두에서 강력하게 추진키로 했다.
경남은행은 집단행동은 자제하고 있지만 지방의 자치단체와 정치권의 지원을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러한 지방은행의 움직임은 AT커니로부터의 기능재편안이 이달말 확정돼 발표되기 때문에 지금이 독자생존을 요구할 수 있는 마지막 기회라는 위기의식에서 나왔다는 분석이다.
그리고 우리금융은 기능재편 컨설팅에 있어서 국내 금융시장의 특성 및 지방은행의 특수성보다는 경영지표와 재무상태 등을 평가의 핵심으로 삼고 있어서 지방은행에게는 불리한 결과가 나올 것이라는 우려다. 물론 공자금 투입의 조건으로 약속된 기능재편 방안을 거부하면 여론의 지탄과 이미지 실추가 예상되지만 독자생존의 마지막 희망을 포기할 수 없다는 것이다.
광주은행 노조 관계자는 “광주은행은 현 정권이 들어선 이후 혜택은 고사하고 피해만 보고 있다는 여론이 일찌감치 확산됐다”며 “지역민들의 적극적인 지지를 바탕으로 기능재편의 폐해를 외부에 알리는 데 주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경남은행도 지자체 선거와 대선을 앞두고 있어서 굳이 은행이 나서지 않더라도 정치적 영향에 따라 우리금융이 의도하는 데로 기능재편 작업이 착수되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그리고 상황에 따라서는 언제든지 구체적인 행동에 나설 수 있다는 입장이다.
박준식 기자 impark@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