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은행이 명예퇴직 예정자 및 준정년 고참직원을 대상으로 한 명예퇴직을 실시, 그동안 기업은행의 최대 문제로 지적됐던 이른바 ‘교수실’을 사실상 폐지키로 했다.
기업은행의 교수실은 퇴직 예정자에 대한 예우 차원에서 운영중인 제도로 교수들에 대한 비용 부담을 유발하고 상위 직급의 인사적체의 원인이라는 지적을 받아 왔다.
10일 금융계에 따르면 기업은행이 이번주말까지 명예퇴직을 실시한다. 이달중 본격적으로 시행되는 사업부제와 관련, 인력을 재정비하고 승진 및 인사 적체를 해소한다는 목적이다.
하지만 명퇴의 실제 목적은 교수실에 소속된 교수들의 대대적인 퇴직을 유도해 하위직급의 승진 기회를 확대한다는 것이다.
기업은행은 지난해말 현재 4급 10 년차 이상 대리급 직원이 436명으로 이중 올해 3급 진급 예정자는 50명에 불과한 실정이다. 이와 관련 기업은행은 지난해 인사적체를 해소하기 위해 직위와 호칭을 상향 조정하는 등 대안을 마련했지만 결국 명퇴가 불가피했다.
특히, 이번 명퇴에는 교수실에 속한 고참 간부급 직원들의 신청을 유도해 하위 직급의 연쇄 승진을 유도한다는 방침이어서 교수실 소속 교수 및 고참 간부직원들의 반발도 적지 않을 전망이다.
기업은행은 지난 80년대 말부터 퇴직 예정자를 대상으로 교수실 제도를 운영중이다. 58세를 정년 기준으로 퇴직을 3년6개월 앞둔 본부장 및 부서장, 그리고 지점장등을 교수로 임명하고 있다.
하지만 교수실은 수행하는 업무에 비해 교수의 급여 수준이 지나치게 높았고 결국 교수 지정 1년차의 경우 전직 급여 대비 25% 삭감, 2년차는 50%를 삭감해 명퇴를 유도하고 있다. 그러나 매년 교수로 지정되는 인력이 급격히 늘고 있는 상황이라 올해초 대대적인 명퇴를 단행키로 했다는 설명이다.
더욱이 이번 명퇴의 특별 퇴직금은 평균임금의 18개월치로 파격이라는 지적이다. 기업은행은 명퇴자들에게 6개월치 이상의 특별 퇴직금을 지급하지 못하도록 법적으로 규정돼 있다. 하지만 이번 명퇴의 중요성을 감안해 김종창 행장은 특별 퇴직금 규모를 크게 높인 것이다.
은행 한 관계자는 “고참 선배에 대한 배려 차원에서 이들을 교수라는 직위를 부여하면서까지 은행이 계속 끌어안고 있는 것은 시대착오적 발상”이라며 “조직에 활력을 불어 넣기 위해 선배 직원들의 용단이 요구된다”고 말했다.
박준식 기자 impark@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