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권에서는 2개 지방은행에 국한되지만 대규모 IT공동투자에 합의한 첫번째 사례라는 점에 큰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13일 대구은행과 부산은행은 “금감원의 보안 가이드라인이 확정되는 올 9월 이후 구체적인 일정이 결정될 것”이라며 “최고 경영진에서 원칙적인 합의가 이루어졌고, 최근 실시간 백업시스템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만큼 프로젝트 추진에 어려움이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대구은행측은 “IT부문 공동투자를 위해 올초 부산은행과 양해각서(MOU) 체결을 추진했지만 합병에 대한 오해로 무산됐다”며 “대규모 투자를 필요로 하는 백업시스템 부문에 대해 두 은행이 비용절감을 위한 공동투자의 필요성에 공감해 MOU 대신 ‘품의서’ 결재형식을 빌어 합의했다”고 밝혔다.
두 은행은 이미 `자동화기기관리 서버’ 구입등 소규모 IT투자에 있어 공동보조를 취해왔다.
실시간 재해복구시스템 외 고객관계관리시스템 및 차세대시스템 등 대형 프로젝트에 대한 공동투자 논의도 있었지만 시스템 환경과 일정 차이로 검토하는 선에서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은행권이 합병 등 외부요인 없이 순수하게 IT비용절감을 위해 자발적으로 대규모 전산공동투자에 합의하기는 이번이 사실상 처음이다.
지금까지 하나-한미은행, 국민-주택은행 등이 전산자회사 설립 등 `IT공동투자를 선언한 적이 있지만 수포로 돌아간 바 있다.
은행권 관계자들은 IT환경이 급변하면서 막대한 전산투자를 요구하는 사례가 많아졌다며 경쟁에 뒤지지 않기 위해 무리한 전산투자를 감행하고 있는 다른 은행들에게도 좋은 본보기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김춘동 기자 bom@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