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사들은 이달 중으로 금융감독원이 보안, 인증부문의 안정대책 방안을 공표하게 되면 인증시스템의 필요성 여부는 제쳐 두고라도 준비를 서둘러야 하기 때문이다. 반면 인증시스템 구축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문제들로 인해 서로 눈치만 보고 있다.
전산개발실 임원들이 인증시스템 구축을 꺼려하는 가장 큰 이유는 고객인증 확인 과정이 추가될 경우 주문속도가 느려져 경쟁력에서 뒤쳐질 수 있다는 불안감 때문이다. 인증서비스는 고객이 주문을 낼 때마다 고객확인을 거치고 주문이 이루어지는 이중 구조이기 때문에 주문속도 지연은 물론 거래량 폭증시 주문오류나 전산시스템 다운과 같은 불의의 사고도 발생할 수 있다.
증권업계 관계자는 대형사들도 인증시스템 구축을 꺼리고 있는 상황에서 위험을 떠안고 미리 구축할 필요가 있느냐며 기술적인 문제가 해결될 때까지 유보할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현재 증권사중에 유일하게 인증시스템을 구축중인 신흥증권도 실질적인 고객 인증서비스는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단지 몇몇 점포를 대상으로 은행연계업무와 주문전산업무에 국한시켜 고객데이터를 암호화하는 정도로 운영되고 있다.
신흥증권 관계자는 “은행을 통해 고객이 계좌를 만들거나 거래를 할 때 증권전산이 제시하는 전산서류가 너무 복잡해 은행 담당자들도 거부하고 있다”며 “행정적인 불편도 인증사업을 막는 한 가지 요소”라고 설명했다.
이 밖에 지난 4월부터 시작된 증권사들의 적자행진도 인증시스템 구축을 막는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전산실 임원들은 적자 상황에서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는 시스템을 막대한 비용을 들여가며 구축할 필요가 없다는 입장이다. 또한 인증시스템 구축시 각사가 이미 구축중인 보안시스템가 겹치는 부분이 많아 중복투자의 위험성도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증권전산은 증권사들의 이같은 불신을 해소하기 위해 최근 정통부와 고객인증확인 절차를 단축시키는 방안에 대해 논의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증권사 공모주청약 등과 같은 새로운 업무에만 인증시스템을 적용해 안정성을 높여 전반적인 증권업무에 확대 적용하는 방안도 마련중이다.
임상연 기자 sylim@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