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국민창투는 국민은행과 장기은행 합병이후 은행의 매각방침에 따라 시장에 매물로 나와 있었다. 이후 리젠트 그룹, 한국타이어 등으로 이어지는 매각협상으로 투자업체 발굴에 뛰어난 역량을 보유했던 국민창투의 영업은 급격히 위축됐고 조합결성과 투자기업 발굴에 힘을 집중할 수 없었다.
이러한 상황속에서 국민창투는 국민은행 심사부장과 신탁업무본부장을 역임한 김 사장이 취임하면서 조금씩 활기를 되찾아 가고 있다.
김 사장은 취임이후 회식자리 등을 통해 ‘국민창투가 투자하면 다른 창투사도 투자한다’는 과거 장은창투의 명성 되찾자고 말했고 위축돼 있는 심사역들의 미래에 대한 불안을 불식시키기 위한 작업에 착수했다. 이를 위해 지난해 준비한 성과급제 시행을 검토하고 있다.
또한 투자자산에 대한 사후관리를 위해 기업컨설팅에 역량을 집중하고 마케팅 분야등 투자기업 지원방안과 자체 리스크 관리체제를 확립할 방침이다.
국민창투 김동필 사장은 “국민창투는 뛰어난 심사역들을 보유하고 있다. 문제는 매각 등 주변환경에 따라 회사분위기가 위축되어 있다는데 있다. 따라서 심사역들이 과거에 가졌던 자신감만 회복한다면 리딩 벤처캐피털로 우뚝 설 것”이라고 자신감을 나타냈다.
한창호 기자 che@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