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현대투신의 부실해소를 위해 현대전자, 현대증권 등 대주주가 우선적으로 나서야하지만 소액주주문제 등으로 부담이 클 경우 총수 일가의 사재출자 등 고강도 자구노력이 있어야만 좋은 조건으로 증권금융자금을 지원할 수 있는 명분이 있다는 입장이다.
정부 고위관계자는 28일 현대그룹의 주가폭락 사태는 유동성 위기보다는 총수일가의 경영행태에 대한 국내외 신뢰도 실추가 더 큰 원인으로 분석되고 있는 만큼 이들이 몸을 던지는 자세로 위기극복에 나서야하며 대주주의 증자가 우선이지만 부족할 경우 총수일가의 사재출자를 통한 현대투신의 부실해소를 검토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삼성그룹이 삼성자동차의 부실문제로 총수의 책임과 신뢰도 문제가 제기됐을때 이건희(李健熙) 회장이 삼성생명 400만주(2조8천억원)를 내놓은 것이 현대투신 문제에 하나의 전범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현대전자와 현대증권 등 대주주가 부실을 해소하는 것이 당연하지만 1조원이 넘는 부실을 감당하기 어렵다면 정 명예회장과 몽헌회장을 비롯한 형제들이 십시일반으로 현대투신문제해결에 나서야할 것이라고 주문했다.
정부의 또다른 관계자는 현대는 작년에 증자를 통해 13조원을 조달함으로써 부채비율 200%를 충족하는 등 시장의 도움을 받은만큼 대주주 증자든 총수일가의 사재출자든 모든 수단을 다해 시장안정에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현대가 투신문제를 앞으로 2년간 시간을 갖고 해결하려하고 있으나 시장은 그만한 인내심이나 온정이 없다며 현대전자와 현대증권 등 대주주들이 소액주주가 무서워 증자할 수 없다면 총수 일가가 책임을 지는 것이 당연한 것 아니냐고 반문했다.
관리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