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업이익은 어느해보다 호황을 누렸지만 대우등 일부증권사들은 대규모 대우채손실보전시 적자결산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 대우채를 일시상가하지 않고 분할상각함으로써 결산부담을 줄이기위해 업계와 당국이 결산방식을 놓고 조율을 벌이고 있으나 여의치 않은 실정이다.
20일 금감원 및 증권업계에 따르면 대우증권은 대우채손실분을 일시상각할 경우, 대규모 적자가 불가피한 것으로 알려졌다. 증자 등을 통해 영업용순자산비율 확보에 비상에 걸렸다. 반면 현대증권은 대우채 미환매 수익증권을 회계상 처리할 수 없어 곤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대우증권의 경우 잠정적인 대우채 손실규모가 콜자금 수익증권등을 합칠 경우 약 1조원에 육박, 7000∼8000억원대의 대규모 영업이익에도 불구 대우채손실분을 일시상각할 경우 3000억원안팎의 당기 순손실이 불가피한 실정이다.
특히 대우증권은 신규사업등을 명분으로 3000억원대의 증자를 계획하고 있지만, 실상은 분할상각이 무산될 경우 손실발생에 따른 영업용순자산 비율을 맞추기 위한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대우증권 관계자는 “대우채 손실 규모가 1조원에 달하는 것은 사실이나 이번 증자는 e-bussiness 등 신규사업 운영자금을 확충하기 위해 계획한 것으로 대우채 손실처리와는 무관하다”고 밝혔다.
현대증권 역시 수익증권 환매로 인한 대우채 손실이 4000억원대에 달한 것으로 알려져 결산에 애를 먹고 있다.
특히 500억원대에 달하는 대우채 관련 미환매 수익증권 을 어떻게 처리할지를 놓고 고민중인데 운용사와 계약을 해지해야만 회계처리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현대증권은 또한 대우채관련 성업공사의 환매대금중 가정산식으로 일부만 환입, 정산이 안된 상태여서 회계 처리에 곤란을 겪고 있다.
현대증권 관계자는 “그러나 이들 회계처리가 모호한 부분을 제외하고 4000억원의 손실만 반영할 경우 영업이익이 워낙 커 흑자결산에는 전혀 어려움이 없다”고 밝혔다. 2월말 기준 현대증권의 당기순이익은 약5000억원이다. 대우채 손실분 2/3만 반영한 2월말 영업용순자산비율 또한 200%이상으로 집계됐다.
박용수 기자 pys@kf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