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위는 모건스탠리에 의뢰, 은행장을 국내외에서 물색해 경영을 맡겨 정상화를 도모한 후 IMF와 약속한 대로 서울은행의 해외 매각을 다시 추진하겠다는 입장이지만 금감위 계획대로 경영이 정상화돼 해외 매각이 다시 추진될지, 아니면 금융계 일각의 관측처럼 다른 은행과 합병이 추진될 지, 현재로서는 전망이 어려운 상황이다.
금감위는 지난해 10월 모건스탠리와 계약을 체결하고 서울은행에 1억~2억달러의 출자와 함께 경영을 맡을 해외 금융기관을 물색토록 했다.
이에 따라 모건스탠리가 해외 투자처 물색에 나선 결과 지난해 말에는 JP모건이 정식 의향서 제출에 앞서 서울은행에 대한 예비실사를 했고, 외환카드에 출자한 올림퍼스캐피털과 조흥은행, 하나은행등에 관심을 표하기도 했던 미국계 엥카캐피털은 캐나다 노바스코샤은행과 공동으로 서울은행 위탁경영에 의향을 표하기도 했다.
그러나 올림퍼스캐피털과 엥카캐피털은 관심만 보이다 말았고 JP모건은 제일은행 수준의 무리한 요구조건을 제시, 정식 협상도 하지 못한 채 흐지부지되고 말았다.
이제 서울은행이 앞으로 나아갈 방향은 자력회생을 통한 경영정상화 또는 이를 토대로 한 해외매각이냐 아니면 국내 다른 은행과의 합병을 통한 구조조정으로 가느냐 하는 2~3가지 방안으로 압축되고 있다.
서울은행측은 물론 자력회생을 자신하고 있다. 서울은행은 지난해 대우관련 여신에 대해 평균 55%의 대손충당금을 적립한 후 2조2천억원의 적자를 냈지만 올해는 세후순익 기준 5천억원 안팎의 흑자가 가능할 것이라는 주장이다.
따라서 대내외적으로 경영능력을 인정받는 CEO를 영입해 3년간 임기를 보장하고 필요할 경우 추가 출자를 해 준다면 경영정상화가 충분히 가능하다는 주장이다.
그러나 이같은 서울은행의 경영정상화 계획이 제대로 되려면 국내외 고객들의 신뢰회복은 물론 서울은행 내부 직원들의 경영정상화에 대한 강한 자신감이 전제돼야 한다.
현실적으로 유능한 CEO가 영입된다 해서 고객들이 서울은행에 대해 신뢰를 할 지 미지수다. 서울은행 내부 직원들의 자신감 회복도 쉬운 일이 아니다. 그렇다면 자칫 서울은행 문제는 또 다시 시간만 낭비하고 정부부담만 늘어나는 쪽으로 꼬일 수 있다.
조기에 서울은행이 경영정상화의 기반을 잡지 못하면 서울은행이 원하든 원치않든 2차 구조조정의 소용돌이에 휘말릴 수도 있다. 그러나 이 역시 간단한 일이 아니다. 한빛은행의 예에서 드러났지만 대형은행간 합병이라는 게 쉬운 일이 아니며 시너지 효과를 기대하기는 거의 불가능하다. 정부의 추가 지원도 큰 부담이다.
금감위나 재경부가 헐값매각이라는 여론만 의식하지 말고 제일은행식으로 서울은행도 과감하게 매각하는 게 오히려 현실적 대안이라는 지적이 나오는 것도 바로 이 때문이다.
박종면 기자 myun@kf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