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선물업계에 따르면 한 선물회사가 선물거래소의 국채선물 최종결제가격 산정방식에 이의를 제기하면서 비롯된 논란이 마무리됐다. 선물거래소는 별도 팀을 구성해 협의를 거친 결과, `정답은 없다`는 것으로 결론짓고, 이사회 결의를 통해 거래소 방식을 확정했다.
이에 대해 선물거래소는 "별다른 논란이 필요없는 사안"이라 일축하면서 "이달 27일 국채선물 상장 이후 어떤 방식이 옳았는지 판가름날 것"이라 말했다. 현재 선물거래소는 선진국 선물거래소 중 국채선물에 대해 현금결제방식을 채택하고 있는 호주의 시드니 선물거래소(SFE)를 벤치마킹하고 있어 최종결제가격 산정방식에도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실제 시드니 선물거래소에서는 하루 평균 3만~4만계약이 활발하게 거래되고 있어 이미 시장을 통한 검증은 끝났다는 것.
이에 대해 반면 일부에서는 보다 충분한 시간을 갖고 논의했어야 했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물론 국채선물 상장 이후 부작용이 드러나면 최종결제가격 산정방식이야 언제든 수정할 수 있지만, 가격왜곡으로 인한 신인도 하락이나 외국인 투자자에 대한 유인 실패 등 자칫 단기간에 만회하기 힘든 손실을 입을 수도 있다는 입장이다. 이를 고려할 때 사장단 협의와 이사회 결의로 이어진 시간이 충분치 못했다는 것.
어찌됐건 이제 결과는 상장 이후 시장에서 확인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라 업계 관계자들은 국채선물이 별다른 부작용없이 조기에 정착돼 선물시장 활성화에 나서주기만을 기대하고 있다. 한편 국채선물 상장에 관한 세부사항이 완료됨에 따라 국채선물 모의거래를 끝마치는대로 계획했던 이달 27일경에 무리없이 상장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정훈 기자 futures@kf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