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증권업계를 비롯한 금융계에 따르면 지난달부터 금리 상승과 투신권의 국채 보유심리로 기관들의 국채 매매가 크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국채의 경우 지난 8월부터 국채전문시장을 통한 장내거래는 사실상 전무한 상태며, 하루 한 두 건에 거래량도 1백억원을 넘지 못하고 있다. 이와 함께 지난 6월 한 달 동안 68조원을 상회하던 국채 장외거래도 7월중에는 6조5천여억원으로 급감했으며, 심지어 8월에는 4조원을 밑돌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 기간중 3년 만기 국고채 금리도 6월에 평균 6.75%이던 것이 이달 2일에는 9.45%까지 급등했다. 이에 대해 투신권을 비롯한 기관투자가들은 유동성 확보를 위해 보유 국채를 처분하려 해도 금리가 맞지 않아 매도시 손실이 불가피한 상태며, 그나마 실제 보유 물량도 많지 않다는 것이 업계의 일반적인 관측이다.
이런 상황에서 지난 6일 1조2천억원으로 시작된 국채 발행이 국채시장을 살릴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해서 업계에서는 부정적인 반응이 대부분이다. 물론 프라이머리 딜러 선정으로 발행 물량이 시장에서 소화는 되겠지만, 대부분의 물량을 은행권에서 인수할 것이 확실해 은행간 거래 외에는 매매가 이루어지기 어렵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 증권업계 채권팀 관계자는 "대우사태 이후 현재 환매에 따른 위기상황에 몰린 투신권은 물론이고 증권사들도 미매각 수익증권을 떠안게 돼 그 직접적인 영향권 내에 있다"며 "증권사들의 국채 인수가 많지 않을 것이며 투신권에서도 매수여력이 없는 상태"라고 말했다. 더욱이 향후 금리 전망 자체도 불투명한 상황이라 국채발행이 시장 활성화에 미칠 영향은 극히 제한적이라는 논리다.
한편 일부에서는 국채 발행물량이 늘어나고 있으며 시장논리에 맞게 입찰이 이뤄진다면, 금리 재조정의 가능성이 있으며 이에 따라 차익실현을 위한 매매를 촉발시킬 것이라는 기대도 조심스레 제기되고 있다.
이정훈 기자 futures@kf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