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 선물업계에 따르면 선물거래소가 국채선물을 디자인하는 과정에서 선정한 최종결제가격 산정방식에 대해 한 선물사가 이견을 제시하면서 이를 놓고 업계 대표자들간 회의가 계속되는 등 논란이 일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현재 거래소측은 선물사 사장단 회의에서 거래소측 안을 따르기로 결정했다며 `별일 아니다`라는 식의 입장을 보이고 있지만, 업계에서는 시간을 두고 재검토해야 한다는 의견도 만만치 않다.
이번 논란은 국채선물의 최종결제방식이 현금결제방식으로 확정되면서 자연스럽게 생겨난 문제라는 것이 관계자들의 말이다. 현재 거래소의 선정안에 따르면 현금결제방식을 도입할 경우, 거래소에서 지정하는 대표 국채들을 바스켓(Basket)으로 묶어 이들 수익률을 산술평균해 최종결제가격을 정하게 된다. 그러나 이 방식에 반대하는 측의 요지는 수익률이 가격으로 바뀌는 시점에 가격왜곡을 피할 수 없다는 것이다. 바스켓에 포함되는 채권의 만기가 각각 다르기 때문에 단순계산은 곤란하며, 기준 채권가격을 정해 이에 대한 나머지 채권가격의 비율(전환계수)을 구해야 한다는 것이다. 즉 바스켓에 포함될 3~5개 채권가격을 산술평균이 아니라 가중평균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에 대해 거래소측은 "상호 일장일단이 있지만, 현재 국내 기관들의 채권거래에서 채권가격과 관계없이 수익률로 거래하는 것이 관행이라 산술평균하는 것이 편리"하다며 "거래소 방식은 출발 초기부터 벤치마킹해 온 시드니 선물거래소에서 이미 검증되어 별 문제가 없을 것"이라 말했다. 반면 선물사 관계자는 "어차피 채권시가평가제가 도입되면 매일 수익률을 가격으로 산정해야 하기 떄문에 전환계수로 가중평균해야 가격왜곡을 막을 수 있다"는 입장이다. 이와 함께 "만약 가격왜곡이 있을 경우 외국인에 대한 시장유인이 가능하겠느냐"며 우려를 나타냈다.
현재로서는 거래소 방식에 따르기로 하더라도 국채선물 모의거래를 좀더 연장해 시간을 두고서 추가 논의를 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이와 함께 선물업계 대표자들로 실무협의회를 별도로 구성, 가격산정 방식을 최종 결정할 것이라는 관측이다.
이정훈 기자 futures@kf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