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나 이에대해 채권 금융기관들이나 금융당국 모두 뚜렷한 대책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어 금융시장의 잠재 불안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한편 대우그룹 계열사중 비교적 우량한 곳으로 평가받으면서 자금사정이 좋은 대우중공업에 대한 구조조정을 전담하고 있는 산업은행은 대우중공업 자금이 경영이 어려운 다른 계열사로 빠져 나가고 있는 사실을 포착하고, 이를 막기 위해 지난 18일 채권은행중 처음으로 3명의 자금관리단을 대우중공업에 전격 파견, 자금동향 체크에 들어가 주목을 받고 있다.
23일 금융계에 따르면 지난달 하순 은행, 투신사등이 회사채 및 CP 인수형태로 4조3천억원의 신규자금을 대우그룹에 지원, 대우그룹은 심각한 유동성 위기를 넘겼으나 시간이 흐르면서 다시 자금사정이 크게 악화되고 있다.
대우그룹에 대해 금융기관들은 공동결의에 따라 기일도래 어음을 모두 재연장해주고 있지만 연기금이나 일반법인, 개인들은 대우그룹 계열사들에 투자한 CP나 회사채가 만기도래하면 즉시 상환을 요구하고 있다. 여기에다 물대로 나간 진성어음도 속속 기일 도래하고 있다. 그러나 이같은 기일도래 어음에 대해 대우그룹은 자체적으로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더욱이 대우그룹 사태가 표면화된 이후 대우그룹 계열 금융기관을 통해 일반 제조업 계열사등에 지원됐던 콜자금마저 거의 끊겨 대우그룹의 자금사정이 더욱 어려워지고 있다. 이와 관련 금감위는 대우그룹 계열 금융기관들에 대해 금융권이 과거처럼 정상적으로 콜자금을 주도록 독촉하고 있지만 먹혀들지 않고 있다.
채권금융기관 관계자들은 `이같은 상황이 지속되면서 지난 20일 기준 만기가 돌아왔는데도 결제하지 못하고 있는 대우 어음은 2조원을 넘어섰다`고 밝히고 `그나마 만기도래후 4~5일 지나야 일부 어음이 결제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에 따라 금감위와 채권금융기관들은 대책을 검토중이지만 묘안이 없다는 중론이다. 대우그룹 미결제 어음을 정리하려면 신규자금을 추가로 지원하던지, 대우그룹의 계열사 매각이 빨리 성사돼야 하지만 추가지원은 담보부족으로 어렵고, 설령 대우그룹이 담보를 제공한다해도 채권단이 밑빠진 독에 물붓기식의 지원을 언제까지 할 수 있느냐는 의문이 제기될 수 밖에 없다는 지적이다.
박종면 기자 myun@kf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