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분의 손보사들은 정부의 대행을 받아 동부화재에서 단독으로 실시하고 있는 무보험·뺑소니 차량에 의한 사고 시 보상해주는 업무는 11개 손보사가 M/S에 따라 갹출하는 보험금으로 실시하는 것인 만큼 모든 손보사가 보상업무를 할 수 있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정부는 무보험차나 뺑소니차에 의해 사고가 났을 경우 피해자가 보험보상을 받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자 피해자를 보호하기 위해 당시 한국자동차보험이었던 현 동부화재에 이들에 대한 보상업무를 전담, 실시하도록 한 것이 오늘에 이르게 됐다. 또 그 재원은 11개 손보사가 M/S 비율에 맞게 출연하는 보험금으로 충당하며, 보상한도는 책임보험 한도내에서 보상토록 했다. 따라서 손보사들은 무보험·뺑소니차에 의한 사고시 보상해주는 업무를 특정한 회사에서 도맡아 할 이유가 없다는 논리를 펴고 있다.
삼성화재의 경우 자동차보험 M/S가 28%대를 기록하고 있어 상대적으로 보험금도 많이 내는데 생색은 동부에서 내는데 대해 불쾌하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동부와 비슷한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는 현대나 LG도 마찬가지.
이 회사들은 한꺼번에 전 손보사로 풀기가 어렵다면 우선 사고 접수라도 받을 수 있게 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피해자 가운데 보험계약자들은 우선 자신이 가입한 보험회사에 먼저 전화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 그러나 사고 접수도 동부에서 받는 관계로 그쪽 전화번호를 알려주는데 그치고 있어 회사 이미지 차원에서 많은 손해를 본다는 지적이다.
동부화재는 처음부터 정부에서 전담토록 맡겼던 사업인 만큼 자신들에게 기득권이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특히 모든 보상업무를 도맡아 하고 있음에 따라 그만큼 많은 인력과 시간을 소비하고 있다는 것. 또 사고접수 창구도 일원화가 되어야 보상업무를 원활히 할 수 있다고 반박하고 있어 귀추가 주목된다.
김성희 기자 shfree@kf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