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광명경찰서에 따르면, 사고는 8월 4일 오후 1시 34분께 경기도 광명시 옥길동에 위치한 광명~서울고속도로 연장공사 현장에서 발생했다.
이 현장은 국토교통부가 발주하고 포스코이앤씨가 시공을 맡은 고속도로 구간으로, 사고 당시 작업자 A씨(미얀마 국적, 30대)는 지하 18m 지점에서 양수기 펌프 고장 점검 중이었다. 감전이 추정되는 사고로 A씨는 심정지 상태로 발견됐으며, 구조 후 병원으로 이송됐지만 현재까지 의식을 회복하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사고는 포스코이앤씨의 공사 현장 안전관리에 큰 문제가 있다고 평가된다. 불과 일주일만에 시공사 현장에서 또 다시 중대재해가 발생했기 때문이다. 지난달 28일 포스코이앤씨가 시공하는 경남 함양울산고속도로 의령나들목 공사 현장에서 사면 보강작업을 하던 60대 노동자가 천공기(지반을 뚫는 건설기계)에 끼여 숨졌다.
앞서 지난 1월 경남 김해 아파트 신축현장에서는 근로자 추락사고가 발생했고, 4월에는 경기도 광명 신안산선 현장에서 붕괴 사고, 대구 주상복합 현장에서 추락사고가 잇달아 발생했다. 이어 6월에는 함양~울산고속도로 의령나들목 현장에서 60대 노동자가 천공기에 끼여 숨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지난해 12월 정희민 대표 취임 이후 ‘안전 경영 강화’를 최우선 가치로 삼으며, ‘안전’을 외치고 있지만, 정작 현장에선 사망 사고가 지속, 발생했다.
중대재해가 반복되자 지난달 29일, 이재명 대통령은 국무회의에서 “똑같은 방식으로 사망 사고가 반복되는 것은 죽음을 용인하는 것”이라며 “법률적으로 보면 미필적 고의에 의한 살인”이라고 강하게 질타한 바 있다. 이에 같은 날 오후, 정희민 포스코이앤씨 대표이사는 인천 송도 본사에서 대국민 사과문을 발표하고 “안전을 최우선 가치로 삼아 사고 재발을 막겠다”며 전 현장 작업 중단과 긴급 점검을 시행하겠다고 밝혔다.
일각에선 사과의 진정성에 대한 의심과 함께, 구조적 안전관리에 문제가 있다는 목소리도 있다.
안형준 건국대학교 교수는 “사고 발생하면 안전관리 조치를 제대로 해야 하는데, 매번 형식적·보여주기식의 경영이 지속된다면 사고 대비를 할 수 없다”며 “많은 건설사들이 그 순간만을 빠르게 지나가길 원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또 “포스코이앤씨가 강조한 ‘전사적 안전시스템 전환’이라는 약속이 제대로 실행되고 있는지 의문이 생긴다”고 덧붙였다.
한편 경찰청은 5일부터 전국 시도청에 산업재해 전담 수사팀을 신설한다고 밝혔다. 이는 대통령 지시에 따른 조치로, 산재 사망사고에 대해 보다 체계적이고 강도 높은 수사가 이뤄질 것으로 전망된다. 포스코이앤씨를 포함한 반복 산재 발생 기업에 대한 직접적인 수사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주현태 한국금융신문 기자 gun1313@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