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한국금융신문 DQN(데이터퀼리티뉴스, Data Quality News)이 국내 주요 손해보험사 10개사(삼성화재·DB손해보험·현대해상·KB손해보험·메리츠화재·한화손해보험·흥국화재·농협손해보험·롯데손해보험·코리안리) 경영 공시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말 기준 평균 K-ICS 비율은 201.5%로 집계됐다. 이는 경과조치 적용한 K-ICS 비율을 기준으로 산정했다.
지난해 4분기부터 ‘무·저해지 해지율 가이드라인’이 적용되면서 보험사 전반적으로 K-ICS 비율이 하락했다. 실제 지난해 3분기 말 손보사 평균 K-ICS 비율은 219.66%로 한 분기 만에 17.71%p(포인트) 떨어졌다.
현대해상과 KB손해보험은 전분기 대비 각각 13.14%p, 17.29%p 하락해 157%, 186.42%로 권고 기준을 준수할 수 있었다. 흥국화재도 전분기와 비교해 3.76%p 떨어졌지만, 경과조치 적용을 받아 199.56%로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지표를 만들었다.
보험사 전반적으로 K-ICS 비율이 하락한 가운데 코리안리가 유일하게 전분기 대비 4.37%p 개선된 191.70%를 기록했다.
최근 후순위채권 조기상환(콜옵션) 행사 시도로 인해 감독당국의 지적을 받은 롯데손보는 전분기 대비 5.18%p 하락한 154.59%로 권고 기준을 턱걸이했다. 다만, 올해 하반기부터 적용한 ‘무·저해지 해지율’ 원칙모형을 적용하게 되면 127.4%로 권고치를 하회한다.
이에 올해 초 건전성 개선을 위해 국내 보험사들이 대규모 후순위채권과 신종자본증권 등 자본성증권 발행에 나섰다.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올해 5월 12일 기준 보험사의 자본성증권 발행액은 총 4조7250억원으로 집계됐다.
대표적으로 ▲DB손보·현대해상 8000억원 ▲KB손보 6000억원 ▲한화손보 5000억원 ▲메리츠화재 3000억원 ▲흥국화재·농협손보 2000억원 순으로 자본성증권을 발행했다.
보험사들의 자본 확충을 위한 움직임에 금융당국은 올해 3분기부터 K-ICS 비율을 기존 150%에서 130%로 하향 조정해 자본 관리 부담을 완화하기로 했다.
기본자본 K-ICS 비율 도입을 통해 자본성증권의 과도한 발행을 막고 자본의 질적 제고를 유도하겠다는 목적이다. 해외 주요국에서는 기본자본 지급여력비율은 50~70% 수준에서 관리하고 있다.
지난해 말 기준 국내 손해보험사들이 공시한 ‘지급여력 및 건전성감독기준 재무상태표’를 토대로 기본자본에서 지급여력기준금액을 나눠 백분율을 산출한 결과, 삼성화재가 155%로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다.
삼성화재의 기본자본은 14조294억원으로 전체 손해보험사 중 유일하게 기본자본 규모가 10조원이 넘었다. DB손보가 8조157억원으로 기본자본 규모가 두 번째로 많았고, KB손보가 5조96억원으로 그 뒤를 이었다.
같은 기간 지급여력기준금액은 DB손보가 9조4025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삼성화재 9조1371억원으로 9조원을 넘겼다. 세 번째로 지급여력기준금액이 많은 곳은 7조9000억원의 현대해상이었다.
기본자본 K-ICS 비율이 해외 규제 수준인 50~70%에 해당하는 곳은 ▲코리안리 106.72% ▲메리츠화재 86.53% ▲KB손보 82.50% ▲농협손보(경과조치 적용 기준) 85.26% ▲DB손보 85.25% ▲한화손보(경과조치 적용 기준) 78.88% ▲현대해상 57.49% 순으로 나타났다.
흥국화재는 경과조치 적용 기준 기본자본과 지급여력기준으로 비율을 산정했을 때 37.92%로 안정권에서 벗어난 것으로 확인됐다.
문제는 롯데손보다. 경과조치를 적용했을 때도 지난해 말 기준 롯데손보의 기본자본은 ?275억원었고, 지급여력기준은 1조7660억원이었다. 이로 인해 기본자본 K-ICS비율은 ?1.55%로 전체 손해보험사 중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업계는 기본자본 K-ICS 도입으로 보험사들의 기초체력을 다질 수 있어 긍정적인 부분이 있지만, 대형사와 중·소형사의 격차가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기본자본 K-ICS 비율 도입으로 인해 보험사들이 외부 위기상황에 대비한 리스크관리 능력 상승과 무리한 영업이나 리스크 상품 판매를 지양할 가능성이 있다”면서도 “다만, 중·소형 보험사나 수익성이 낮은 회사는 자본확충이 어려워져 자본비용을 보험료로 전가하게 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강은영 한국금융신문 기자 eykang@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