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6일 현대엔지니어링에 따르면 용인영덕 A2BL 경기행복주택은 민간참여 공공주택사업으로서 경기주택도시공사와 현대엔지니어링 컨소시엄(현대엔지니어링, 금강공업)이 사업협약을 체결하고 수행한다. 해당 사업은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영덕동 751-3번지 일원에 지상 13층, 전용면적 ▲17㎡ 102가구 ▲37㎡ 4가구 등 총 106가구 규모로 조성된다. 내년 초 입주 예정이다.
또한 이는 현대엔지니어링이 공동연구기관으로 참여 중인 중고층 모듈러 국가 R&D 연구단(국토교통부 지원)의 실증사업이기도 하다. 기존 국내 모듈러 주택은 6층 이하의 저층 규모에 한정됐으나, 중고층 모듈러 국가 R&D 연구단과 협력해 국내 최고층(13층)에 특화된 설계, 제작, 운송 및 시공 기술을 본 사업에 구현 할 계획이다.
모듈러 공법이란 첨단 건축 기술을 바탕으로 주요 구조물과 건축 마감 등을 공장에서 선 제작한 후 현장으로 운송 및 조립해 건축물을 완성하는 방식이다. 기존 방식과 비교해 20~50%의 공기 단축은 물론 공사 과정에서 소음, 분진이 적고 폐기물도 덜 발생해 최근 차세대 친환경 건설 기술로 각광받고 있다. 현장 작업을 최소화함으로써 건설안전성을 크게 향상 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현대엔지니어링은 주택사업의 노하우와 연구개발을 통해 축적해 온 모듈러, 스마트건설 분야의 기술을 결집시켰다. 특히 모듈러 구조물의 내진성능을 향상시킨 업계 최초이자 국내 유일한 건설신기술 제770호에 기반한 노하우 및 다양한 프로젝트의 구조설계 경험을 바탕으로 구조 안전성을 확보했다.
현대엔지니어링은 스마트건설기술을 활용해 정밀하고 균일한 공장 제작 및 현장 품질관리를 수행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트렌디하고 공간효율성을 극대화한 단위 세대를 계획했으며 기존 공공주택 대비 동등 수준 이상의 주거성능을 확보하고자 했다.
현대엔지니어링 관계자는 “최근 건설현장 안전사고 예방과 ESG 경영 등 환경부하 저감에 대한 중요성이 커지는 환경 속에 모듈러 건축은 미래 핵심 기술로 인정받고 있다”며 “모듈러 공법을 지속적으로 연구∙개발해 국내 모듈러 건축분야에서 최고의 기술력을 인정받는 건설사로 발돋움할 계획이다” 라고 말했다.
김관주 기자 gjoo@fntimes.com